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스포츠 스포츠일반

김종 후폭풍, 속타는 평창

등록 2016-11-30 17:24수정 2021-01-06 14:59

[김창금 기자의 무회전 킥]
운영비 스폰서 모금액 턱없이 부족
최순실 게이트로 국회에서도 예산삭감
경기 단체 “이럴 거면 대회 반납해라”
2018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와 올림픽에 출전하는 각 경기단체들이 ‘김종 후폭풍’으로 속이 시커멓게 타고 있다. 그야말로 전세계 손님을 초대한 스포츠 잔치에 망신살이 뻗치지나 않을까 하는 걱정이 팽배하다. 정치 실패로 후원 시장이 얼어버리면서 조직위원회는 스폰서 구하기가 힘들어졌고, 경기력 향상이 발등에 불인 종목 단체에서는 가뜩이나 열악한 형편에 덤터기를 쓰는 듯한 피해의식까지 느끼고 있다. 올림픽을 국가적 차원에서 유치한 정부와 강원도가 정작 이해당사자인데, 엉뚱하게 조직위와 경기단체가 속앓이를 하고 있다.

대회 운영을 하는 평창조직위원회는 지금 돈줄이 말라버렸다. 지난 9월까지 조직위가 확보한 기업 후원금은 7808억원으로 목표액의 83%에 불과하다. 그나마 대개가 현물지원이고, 현금은 3분의 1밖에는 안 된다. 대회 개최 전까지는 4000억원이 더 필요한데, 충당할 뾰족수가 없다. 올림픽을 통한 국가 브랜드 향상이나 관광객 증가로 기업에 돌아가는 경제효과나 혜택을 설명하며 설득을 해도, 최순실 게이트 여파로 기업들은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다.

금융기관이나 공공기관의 후원은 아예 제로 상태다. 100여개국 5만여명이 입국하면 이동과 숙박, 관광까지 공공기관의 조력이 절실하다. 가령 경기장 전력 공급에는 한국전력이 지원이 필요하듯이, 선수 등이 입국할 때나 내륙으로 이동할 때, 특별 시설이나 선수촌·미디어 숙소 등과 관련해서는 각 공기업의 도움이 필요하다. 메가스포츠 이벤트를 왜 유치했느냐고 따지면 할 말이 없지만, 국제사회와 개최를 약속한 올림픽을 반납할 수는 없다. 국회 평창동계올림픽 지원 특별위원회도 결의안을 채택해 모금활동에 나선 이유다.

올림픽에 출전하는 개별 경기 단체도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12월 중으로 완공되는 강릉아이스하키장은 2018년 2월 올림픽 개막 때까지 얼음도 없이 거의 놀려야 한다. 애초 김종 전 차관은 강릉을 겨울 스포츠시티로 조성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었다. 경기장 완공 시점을 기준으로 5년간 100억원을 국가가 지원한다는 계획도 수립했다. 그러나 본인이 최순실 게이트로 구속되고, 국회가 최순실 예산을 뭉텅 잘라내면서 공중으로 붕 떠버렸다. 평창올림픽을 딱 365일 앞두고 2월9일 열려고 했던 유로챌린지 대회 성사 여부도 불투명하다. 아이스하키 관계자는 “(강원도 등) 얼음을 얼리고 관리를 하려는 주체도 없다. 일본, 덴마크, 헝가리를 초청해 사상 처음 여는 대회인데 난감하다”고 했다. 이런 사정은 저변이 약한 동계종목 단체 모두의 고민이다. 경기력은 끌어올려야 하는데, 정작 국가나 지자체는 손놓고 있다.

평창올림픽은 분산개최를 하지 못한 원죄를 뒤집어쓰고 있다. 2014년 말 대통령은 표를 의식해서인지 “분산개최는 없다”고 못박았다. 김종 전 차관은 문체부 내부의 분산론 주장으로 맞서지 못했다. 해체하기로 했던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과 하키장을 존치로 바꾼 것도 재앙 수준이다. 최순실씨의 조카 장시호씨의 이권 관련성 등 말도 많은 시설을 기업이 나서 접수할 가능성은 낮다. 이럴 경우 사후 관리는 진짜 큰 문제가 된다. 조직위원회의 수장을 세 차례 바꾸는 무리수로 내부 동력에 상처를 내면서, 조직위의 자체 마케팅 성과도 지지부진하다.

한 빙상 관계자는 “우리가 언제 올림픽 유치해달라고 했냐? 시국이 시국이지만 올림픽을 해야 한다면 정부나 국회가 책임있게 나서야 한다. 정치 비용이 너무 크고 부담은 개별 종목에 떨어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창금 기자 kim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스포츠 많이 보는 기사

한국 여자컬링, 일본 ‘완벽봉쇄’…기권승으로 1위 순항 1.

한국 여자컬링, 일본 ‘완벽봉쇄’…기권승으로 1위 순항

아깝게 메달 놓쳤지만…37살 이승훈, 역시 ‘한국 빙속 대들보’ 2.

아깝게 메달 놓쳤지만…37살 이승훈, 역시 ‘한국 빙속 대들보’

“한국이 소중히 여기지 않았다”…린샤오쥔 응원하는 중국 [아오아오 하얼빈] 3.

“한국이 소중히 여기지 않았다”…린샤오쥔 응원하는 중국 [아오아오 하얼빈]

한국 여자아이스하키, 카자흐스탄에 0-1 패배…B조 2위로 메달 향한 도전 4.

한국 여자아이스하키, 카자흐스탄에 0-1 패배…B조 2위로 메달 향한 도전

쇼트트랙 장성우 “남자 계주, 중국 잡고 1위 하겠다” [가자 하얼빈] 5.

쇼트트랙 장성우 “남자 계주, 중국 잡고 1위 하겠다” [가자 하얼빈]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