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브라질 리우올림픽 때 발급된 AD카드. 올림픽사진공동취재단
“티켓이나 에이디(AD) 카드(등록 카드) 없나요?”
28일 한 경기단체 직원은 2018 평창겨울올림픽을 앞두고 체육인들로부터 받는 질문을 소개했다. 단순한 문의여서 “올림픽 티켓은 인터넷에서 구매할 수 있고, 올림픽 경기장 출입증을 뜻하는 에이디카드는 없다”고 하면 모두 수긍한다고 했다. 이 직원은 “아마도 전국체전 등 국내 행사 때와 비슷할 것으로 생각한 것 같다”는 의견도 덧붙였다.
평창올림픽 에이디카드 규정은 전국체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엄격하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위임을 받아 에이디카드를 발급하는 평창올림픽조직위원회의 박윤준 국제국장은 “아이오시의 에이디카드 발급 가이드라인은 수백 쪽에 이를 정도로 꼼꼼하다. 이희범 조직위 위원장도 재량권을 발휘할 수 없도록 돼 있다”고 밝혔다. 가령 모든 경기장에 접근을 허용한 카드는 평창조직위에서도 조직위원장과 사무총장 등에 국한되고, 강원도에서도 최문순 지사 정도만 받는다. 외국의 사절단이 와도 대통령, 국무총리, 체육장관 외에는 ‘전 경기장 출입’ 카드를 발급해주지 않는다.
발급 수량도 많고 절차도 복잡해 모두 컴퓨터로 처리한다. 선수단과 미디어 등 올림픽 패밀리에만 5만장의 에이디카드가 필요하다. 자원봉사자와 각종 지원인력, 패럴림픽까지 포함하면 20만장에 이른다. 아이오시, 국가올림픽위원회, 톱 스폰서, 심판 및 진행요원, 초청자 등 각양각색의 카테고리가 있고, 종목의 인기 여부에 따라 접근권에 제한을 두는 변수까지 고려한다.
정치권에서도 문화체육관광부를 통해 에이디카드 대상자가 선정되면 그것이 최종 결정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기본적으로 체육 관련 국회 상임위원회인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들은 에이디카드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 못한 국회의원은 자기 돈으로 표를 사야 한다. 일부 국회의원이나 지자체장들은 티켓을 구매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해외에서 열렸던 올림픽에서는 에이디카드를 둘러싼 뒷말이 많이 나왔다. 선수단에 꼭 필요한 사람이 아닌데 에이디카드를 받거나, 정치인이나 관료들이 현지에서 의전을 요구해 선수단이 힘들어했다는 것이다. 이번에도 “내가 누군데?”라며 좀 더 좋은 에이디카드를 원하거나, 아예 카드를 받지 못할 경우 분풀이가 우려된다.
하지만 국내 대회라 언론의 감시도 심하고, 평창올림픽조직위가 아이오시 규정을 철저히 따르는 만큼 과거의 꼴불견이 사라질 가능성은 높다. 평창올림픽이 우리 사회의 권위주의를 깨는 계기가 되면 좋겠다.
김창금 기자
kimc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