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14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세종홀에서 열린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 대국민 보고회에서 패럴림픽 선수와 청책(聽策) 포럼 참가자들의 소감과 바람을 들은 뒤 답변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문화체육관광부는 장애인들의 생활체육 참여를 도모하기 위한 3대 추진 전략과 8대 핵심 과제를 발표했다.
문체부는 14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장애인 선수, 지도자, 지역 장애인 체육 종사자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8 평창겨울패럴림픽 유산 창출을 위한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 대국민 보고회’를 열고 △장애인이 주도하는 체육 △장애인이 즐기는 체육 △장애인과 함께하는 체육을 3대 추진 전략으로 내세웠다.
문체부는 먼저 2025년까지 장애인 체육시설인 ‘반다비 체육센터’ 150개를 새로 짓기로 했다. 시·군·구 단위로 체육관형, 수영장형, 종목별 특화형 등으로 세분화해 건립되는 ‘반다비 체육센터’는 장애인이 우선 사용하되, 비장애인도 함께 이용하는 통합시설로 운영된다.
또 비용 문제로 체육 활동을 못 하는 장애인이 없도록 현재 저소득층 유·청소년을 대상으로 발급하고 있는 스포츠강좌 이용권을 장애인 대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장애인 생활 체육교실은 현재 622개에서 2022년까지 1300개로 대폭 확대하기로 하고 장애 유형별로 다양한 교실 프로그램을 개발해 운영하기로 했다. 또 장애인 동호회가 일부 종목에만 치중하지 않도록 종목별 동호회 지원을 다양화하고, 생활체육교실 참여자의 동호회 전환을 우선 지원하기로 했다. 올해 577명인 생활체육지도자는 2019년 800명으로 늘린 뒤 2022년까지 1200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은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3월 국무회의에서 장애인체육 활성화를 지시한 이후 문체부를 중심으로 5개 권역별 청책 포럼, 간담회, 워크숍 등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만들었다.
장애인 체육은 1988년 서울 패럴림픽을 기점으로 크게 발전했지만 장애인이 실생활에서 이용할 수 있는 체육시설은 절대적으로 부족해 2017년 기준 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율은 20.1%에 불과한 실정이다. 문체부는 2022년까지 이를 30%로 올리는 것을 정책 목표로 삼았다.
도종환 장관은 “전체 장애인 중 90%에 가까운 사람이 교통사고 등 사고에 따른 중도 장애인임을 고려하면, 오늘 발표한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은 장애인만을 위한 정책이 아닌 우리 모두를 위한 정책”이라며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가 2018 평창 겨울패럴림픽의 핵심 유산으로 자리매김하도록 관계부처와 함께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동훈 기자
can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