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도인답지 못한 일 처리. 불협화음. 신뢰성 추락…
지난해 10월 출범한 최영열 원장 체제 국기원의 모습이다. 가장 최근의 사건은 최영열 원장의 고위급 인사다. 최 원장은 8일 국기원의 쇄신을 위해 ‘국기원 구조개혁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하고, 구조개혁위원회 위원장으로 이근창 전 국기원 사무처장을 위촉했다.
하지만 이 위원장의 선임과 관련해 뒷말이 나오고 있다. 이 위원장은 과거 배임과 업무방해, 채용비리 문제로 몇 차례 벌금형을 받았다. 2018년에는 대기발령 상태였음에도 3억7천만원을 받고 희망퇴직한 것이 적발돼 환수조치 요구를 받기도 했다. 개혁이라는 이름과 어울리지 않는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무엇보다 최영열 원장과 첨예하게 대립했던 선거 반대파 쪽 사람이어서 선임 배경에 대한 의혹이 커지고 있다.
최영열 원장은 지난해 10월 사상 최초로 선거인단 투표를 통해 신임 원장에 당선됐다. 하지만 당시 한 표차로 낙선한 오노균 후보가 낸 직무집행정지 가처분 신청이 2월 법원으로부터 받아들여져 직무정지를 당했다. 당선 무효 본안 소송까지 진행 중이어서 복귀 자체도 불투명했다. 이에 최영열 원장은 법원에 가처분 인용에 이의를 제기하기도 했으나 기각됐다.
지난달 오 후보가 돌연 소송을 취하하지 않았다면, 3개월간 공백기를 보낸 최 위원장의 복귀는 불가능했다. 상대방의 손에 좌지우지되는 수장의 모습이 국기원 내부 관계자들에게 좋게 비칠 리 없다.
그런데 복귀 첫 업무부터 인사권을 행사하면서 논란을 부르고 있다. 구조개혁위원회 같은 특별위원회는 상설기구가 아닌데, 갑작스럽게 설치를 결정했고, 이사회나 운영 이사회에서 보고하는 상례도 무시했다. 이런 까닭에 태권도계에서 최 원장과 오 후보 간에 ‘물밑거래’가 있었을 것이라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도장을 운영하는 한 태권도 사범은 “국기원장이 인사권을 행사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상식적으로 납득하기는 힘들다. 지난해 투표결과도 정관과 다르게 해석해 문제가 됐다. 모든 일을 정정당당하게 했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김창금 선임기자
kimc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