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적한 ‘한국 불교의 희망’ 남양주 봉인사 전 선원장 지산 스님
세계불교 3대 흐름 회통시키려미얀마·인도 돌며 수행에 매진
경기도 남양주 봉인사 전 선원장 지산(사진) 스님이 입적한 사실이 알려져 불교계가 안타까워하고 있다. 세수 53살이다.
봉인사 주지 적경 스님은 “지산 스님이 100일간 무문관 수행을 하고 나온 직후 평소 지인인 전주의 한 거사집에 머물던 지난 18일 새벽 심장바비로 열반했다는 소식을 뒤늦게 들었다”며 말을 잊지못했다. 이에 따라 지난 24일 봉인사에서 지낸 49구재 중 초재(7일마다 7번 지내는 제사 중 첫번째)엔 뒤늦게 지산 스님의 열반 소식을 들은 송광사 문도들과 도반들이 달려와 충격적인 아픔을 함께 했다. 도반들은 “여전히 십대같은 순수함과 청정한 마음으로 오직 수행만 해 이제 일을 시작할 시점에 이렇게 떠나가 한국 불교의 한 희망이 무너졌다”고 입을 모았다.
서울대에서 심리학을 전공하며 구도회회장을 지낸 지산 스님은 1988년 순천 송광사 법흥 스님을 은사로 출가해 10여 년간 국내선방에서 간화선 수행을 하다 간화선과 남방의 위파사나, 티베트불교 등 세계 불교 3대 흐름을 모두 수행해 하나로 회통시키겠다는 원대한 희망을 안고 한국을 떠나 새로운 수행에 나섰다. 고인은 미얀마 파욱선원 등에서 사마타와 위파사나 수행을 4년간 했고, 인도 히말라야 다람살라에서는 닝마파의 타시종 사찰에서 수행한데 이어 카규파의 수장 카르마파를 찾아 티베트불교 수행을 했다. 지난해 귀국 뒤 서울 상도선원(주지·미산 스님) 등에서 수행을 지도해오다 무문관인 계룡산 대자암 분원에 들었다. 고인은 사방이 막힌 방안에서 식사와 용변을 모두 해결해야 하는 무무관에서 100일간의 정진을 끝냈다.
미얀마를 다녀온 뒤 봉인사 선원장을 맡은 스님은 자애관과 위파사나를 지도하면서 지난 2005년 <붓다의 길 위파사나의 길>을 출간했다. 이에 앞서 그가 출가 직전 인도의 성자 라마나 마하리쉬의 책을 속명인 ‘이호준’ 이름으로 번역해 펴낸 <나는 누구인가>는 영성과 수행서의 고전으로 지금도 널리 읽히고 있다.
지난해 인도에서 귀국해 경기도 안성 도피안사에 머물며 정리해 최근 발간된 <어머니, 스님들의 어머니>(도피안사 펴냄)는 그의 유작이 됐다. 이 책은 조계종 종정 법전 스님과 고산 스님을 비롯한 19명의 필자의 공저인데 고인은 티베트 불교의 고승 미라레파의 어머니와 달라이라마의 어머니 부분을 썼다. 고인은 지난 25일로 예정됐던 봉정식에 대표필자로서 불전에 이 책을 올릴 예정이었다. 하지만 지산 스님의 갑작스런 열반으로 송광사 문도이자 오랜 도반인 봉인사 주지 적경 스님이 고인의 영정을 들고 대신 봉정했다.
이 책에 쓰인 그의 글은 ‘미라레파의 어머니’와는 관계가 없어보이는 ‘삶은 꿈이다’라는 소제목으로 시작된다. 이어 고인은 ‘중생들의 삶이란 탐·진·치가 빚어내는 꿈이요 환’이라고 썼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한겨레> 자료사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