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무형문화재 제82-2호 ‘서해안배연신굿 및 대동굿’ 보유자인 김금화 씨가 23일 오전 5시 57분께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8세.
1931년 황해도 연백의 가난한 집안에서 둘째 딸로 태어난 김씨는 천덕꾸러기로 자라다 열두 살대부터 무병(巫病)을 앓았다. 고인은 열네살에 시집을 갔다가 구박과 구타에 못이겨 2년만에 탈출하고, 17세에 외할머니이자 만신(萬神·여자 무당)인 김천일 씨에게 내림굿을 받고 무녀가 됐다. 그러나 일제와 6·25, 새마을운동으로 이어지면서 굿은 미신으로 치부돼 때론 경찰서에 끌려가고, 때론 총구의 협박을 받으면서 모진 세월을 견디면서도 굿을 이어갔다.
1950년 한국전쟁 때 월남한 고인은 무교인 방수덕 씨와 인천과 경기도 이천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다가 1965년 서울로 활동지를 옮겼다. 그는 1972년 전국민속경연대회에 참가해 ‘해주장군굿놀이’로 개인연기상을 받으며 민속학계의 주목을 받았고, 1982년 한미수교 100주년을 맞아 미국 로스앤젤레스 녹스빌 국제박람회장에서 열린 친선공연에서 ‘철무리굿’을 선보여 세계적인 명성을 떨쳤다.
특히 날카로운 작두 위에서 춤을 추며 어장의 풍어(豊魚)를 기원하는 ‘서해안풍어제’로 유명했다. 고인은 1985년 국가무형문화재 서해안 배연신굿 및 대동굿 보유자로 인정됐다. 이 굿은 황해도 해주·옹진·연평도에서 성행하던 굿으로, 배연신굿은 선주의 개인 뱃굿이고 대동굿은 마을 공동 제사를 뜻한다.
고인은 이후 백두산 천지와 독일 베를린, 프랑스 파리 등지에서 대동굿과 진혼굿 등을 공연해 서구에 한국의 전통문화를 알리는데 기여를 했다는 평을 받았다.
고인은 사도세자와 백남준, 김대중 전 대통령을 위한 진혼제와 세월호 희생자 추모위령제를 지내기도 했다. 고인은 황해도 지역에서 노인들의 만수무강과 극락 천도를 기원하는 닷새간의 만수대탁굿도 펼쳤는데, 이를 본 도올 김용옥 선생이 “너무도 강렬한 느낌에 주저앉아 엉엉 울렀다”고 고백한 바 있다.
고인은 2000년 서해안풍어제보존회 이사장에 취임하고, 2005년 인천 강화도에 무교시설 ‘금화당’을 열어 후진 양성과 무속문화 전수에 힘썼다. 2014년에는 고인의 일생을 담은 <만신>이 개봉됐다. 박찬경 감독이 연출한 이 영화는 토론토 릴 아시안국제영화제에서 최우수 장편영화상을 받았다.이에 앞서 2013년 개봉한 다큐멘터리 <비단꽃길>도 고인의 삶을 다룬 작품이다.
팔순을 넘긴 나이에도 서슴없이 작두에 올랐던 고인은 국립무형유산원이 2017년 펴낸 구술록에서 “무당은 됨됨이가 제일 중요하다. 남의 덕을 잘 빌어주려면 내가 먼저 덕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내가 무형문화재로 인정된 다음부터 우리 무당들을 바라보는 시선이 달라졌다”며 “그래도 다들 옛것을 찾으면서 즐거워하니까 나도 기뻤다. 내가 가진 재주로 사람들을 기쁘게 할 수 있었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유족으로는 아들 조황훈(자영업) 씨가 있다. 조카 김혜경 씨는 서해안 배연신굿및 대동굿 이수자다.
빈소는 인천시 동구 청기와장례식장에 마련됐다. 발인은 25일 오전 6시 40분, 장지는 인천 부평승화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