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인천교구 내부에서 은폐됐던 성추행 사건이 22년 만에 수면 위로 떠올랐다. <에스비에스>(SBS) ‘그것이 알고 싶다’는 16일 ‘깊은 침묵―사제들의 죽음 그리고 한 사람’이란 제목으로 22년 전 성추행 신부 사건을 방송했다.
이 방송에서는 1996~98년 인천 가톨릭대학 총장으로 재직했던 최아무개 신부가 당시 신학생들을 대상으로 키스하거나 엉덩이를 만지는 등 성추행을 했다는 전직 수녀와 신부들의 증언이 이어졌다. 당시 인천가톨릭대에 재학 중이었던 한 신부는 “최 총장 신부가 자주 자기 방으로 부르고 학교 밖으로 일 보러 나갈 때 비서처럼 데리고 나가서 구강성교를 강요했다고 들었다”고 전하기도 했다. 또 다른 신부는 최 신부에 대해 “기사까지 있는 차에서 그 짓을 했다”고 말했다.
방송에서 최 신부는 “나는 외부로 돈 모금하러, 너무 바빠 학생 지도 문제는 다른 신부님한테 맡겼다”며 “아들과 같아서 사랑의 표현으로 사랑을 했었다”고 해명했다.
신학생들은 7년간 가톨릭대 기숙사에 머물며 교육을 받고, 일단 한 교구에 소속되면 대부분 평생 교구에서 벗어날 수 없기 때문에 주교나 총장 등 상급자 요구를 거부할 수 없는 순명의 풍토 속에서 지낸다. 실제 최 신부의 잇단 성추행에도 불구하고 신학생들은 이를 문제 삼지 못했다. 당시 인천가톨릭대에서 영어를 가르치던 외국인 선교사 신부가 신학생들과 면담하는 과정에서 이 사실을 파악한 뒤 인천교구장이었던 고 나길모 주교에게 즉시 보고했지만 유야무야되고 말았다.
인천교구는 ‘그것이 알고 싶다’의 방송이 확정된 지난 8일에야 최 신부를 면직하고, 13일 인천교구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인천교구는 이날 “자체 재조사 결과 1996년 입학생 가운데 9명이 피해자인 것으로 파악됐다”며 “그러나 2006년에 서품을 받은 두 사제는 1998년 5월 (최) 신부가 총장에서 물러난 이듬해 입학했기에 그들의 죽음은 (최) 신부와 연관이 없다”고 해명했다.
한편 인천교구가 쇄신위원회를 구성하겠다고 밝혔지만, 침묵의 카르텔을 형성해온 교구 내 인사들로만 쇄신위를 꾸릴 경우 미봉으로 끝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인천교구 청년회장을 지낸 박영대 교구노동사목위원은 “침묵의 카르텔이 계속될 수 있으므로 쇄신위에 외부 전문가들이 들어가 재발 방지 방안과 피해자 보호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