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휴심정 순례기

플라톤-신체 영혼 구별해 영혼불멸성 깨달아야

등록 2011-06-05 14:24

플라톤의 <파이돈>-철학은 죽음을 수련하는 것    플라톤의 이데아론 요약.    1.혼란스러운 감각을 넘어서 이성이 인식하는 대상은 ‘그 자체로서’ 존재하는 대상이다. 우리는 이성을 통해서 사물의 ‘실체’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런 수준의 인식에 도달하려면 ‘정화’가 필요하며, 육체와 영혼을 분리시켜야 한다. 철학이란 죽음을 수련하는 것이다. 철학자의 아레테는 용기,절제,정의를 포괄하며 이 모두가 지혜에 의해 이끌린다.    2.생성은 대립자들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찬 것에서 더운 것이, 작은 것에서 큰 것이, 강한 것에서 약한 것이 생성한다. (그 역도 마찬가지). 마찬가지로 산 것에서 죽은 것이 나오고, 죽은 것에서 산 것이 나온다. 따라서 이승이 있듯이 저승이 있다. 그렇지 않다면 죽음 쪽으로의 생성만이 존재할 것이다.    3.인식이란 결국 ‘상기’ 이외의 것이 아니다. 그리고 상기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우선 동일성 즉 ‘같음 자체’가 전제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서 같은 것들이 같은 것들로서 파악되기 때문이다. 자기동일성을 유지하는 형상들=이데아들에는 아름다움 자체, 좋음/선 자체, 올바람/정의 자체, 경건함 자체도 포함된다. 이 이상태들에 조화함으로써 우리는 현실과 이상 사이의 거리를 좁혀나갈 수 있다. 우리의 영혼은 단순한 경험을 넘어 이 이상태들을 알고 있고, 따라서 태어나기 전에도 우리의 영혼이 존속했음을 알 수 있다.    4.이데아는 신적이고 불사이며, 오로지 이성을 통해서만 알 수 있는 것이다. 그것은 자기동일적 존재이며, 해체될 수 없는 존재, 영원한 존재이다. 영혼은 이데아와 뗄 수 없이 맞물려 있다. 육체는 정확히 그 반대이다.    5.가지적인 형상들과 가시적인 사물들을 명확히 구분해야 하며, 이 두 차원 사이에 존재하는 관여, 임재, 결합의 관계를 파악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에 근거해서 신체와 영혼을 구별할 줄 알아야 하고, 영혼의 불멸성을 깨달아야 한다.     이정우의 <세계철학사>에서 발췌.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형이상학의 수립자. 소크라테스만이 진정한 철학자라고 생각하였다. 영원불변의 개념인 이데아(idea)를 통해 존재의 근원을 밝히고자 했다. 그의 작품은 1편을 제외하고 모두가 논제를 둘러싼 철학 논의이므로 《대화편(對話篇)》이라 불린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휴심정 많이 보는 기사

천도재도, 대입합격기도도 없는 사자암의 향봉스님 1.

천도재도, 대입합격기도도 없는 사자암의 향봉스님

울산 울주 정토마을자재병원 개원식 2.

울산 울주 정토마을자재병원 개원식

사랑이란 무엇인가 4.

사랑이란 무엇인가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나옹선사는 5.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나옹선사는

옆에서 보면 더 잘 보인다 6.

옆에서 보면 더 잘 보인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