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휴심정 벗님글방

하늘과 땅은 뿌리가 같고, 세상만물은 하나다

등록 2021-08-09 08:00수정 2021-08-10 08:07

선시종가1080/ 2. 세상을 떠나서 따로 진리를 찾지말라

( 본문 )

천지여아동근 ( 天地與我同根 ) 이요

만물여아일체 ( 萬物與我一體 ) 라

하늘과 땅이 나와 같은 뿌리요

만물이 나와 더불어 한 몸이라 .

( 해설 )

조문 ( 弔問 ) 을 위해 전북 김제 모악산으로 향했다 . 주말임에도 고속도로는 생각보다 덜 붐볐다 . 금산사 인터체인지를 벗어나니 길가에는 현수막을 만장삼아 군데군데 걸어 놓았다 . “ 천지여아동근 ( 天地與我同根 ) 만물여아일체 ( 萬物與我一體 )” 가 적힌 현수막은 열반하신 태공월주 ( 太空月珠 1935~2021) 대종사의 일생을 대변하는 좌우명인지라 절에 도착할 때까지 도로 변 여러 곳에서 심심찮게 만날 수 있었다 .

이 글의 본래주인은 후진 ( 後秦 ) 시대 승조 ( 僧肇 374~414) 법사다 . 그는 몇 편의 논변을 남겼다 . 이를 모아서 한 권으로 묶은 것이 < 조론 ( 肇論 )> 이다 . 마지막 편 ‘ 열반무명론 ( 涅槃無明論 )’ 에 이 구절이 나온다 . 승조는 섬서 ( 陝西 산시 ) 성 서안 ( 西安 시안 . 옛 장안 ) 출신이다 . 책을 서사 ( 書寫 베껴 쓰다 ) 하고 수리 ( 修理 ) 하는 일로 생계를 삼았다 . 금강경에는 경전을 서사하는 공덕이 무엇보다도 크다고 했다 . 인쇄시설이 없던 시절 한 권 책을 두 권으로 만들고 두 권 책을 네 권으로 만든다는 것은 그 책을 많은 이에게 읽힐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었기 때문이다 . 덕분에 승조는 많은 경전과 역사서를 숙독할 수 있었고 더불어 고전에도 능통할 수 있었다 .

그러던 어느 날 장자 ( 莊子 ) 의 ‘ 제물론 ( 齊物論 )’ 을 베끼다가 “ 천지여아병생 ( 天地與我竝生 ) 이요 만물여아위일 ( 萬物與我爲一 ) 이라 . 천지는 나와 함께 살아 있고 만물도 나와 함께 하나가 된다 ” 라는 부분에 이르러 문득 크게 느낀 바가 있었다 . 뒤에 지겸 ( 支謙 ) 이 번역한 < 유마경 > 을 옮겨쓰다가 ‘ 내 갈길을 알았다 ’ 고 하면서 출가를 결행하였다 . 당시 최고의 지성인이자 경전번역가로 이름을 떨치던 구마라집 ( 鳩摩羅什 344~413) 을 찾아갔고 그 문하에서 4 철 ( 四哲 4 대제자 ) 로 불리었다 . 스승이 돌아가신 이듬 해 414 년 조론의 마지막 편 ‘ 열반무명론 ’ 을 완성한 뒤 31 세로 요절했다 . 물론 필이 꽂혔던 장자의 그 말도 당신 것으로 완전히 소화시켜 다시 녹여냈다 . 현대 불교인문학을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는 일지 ( 一指 1960~2002) 스님은 ‘ 열반무명론은 스승의 입적을 추도하기 위해서 씌여졌을 뿐만 아니라 승조 그 자신의 고별논문 ’ 이라고 평가했다 . 천재의 요절은 미인의 단명 ( 短命 ) 과 더불어 동아시아 ‘ 미학 ( 美學 )’ 의 또다른 모습이기도 하다 .

종교의 얼굴은 다양하다 . 때로는 초월과 은둔도 필요하다 . 하지만 그 초월과 은둔도 세상에 회향될 때 더 큰 의미를 가진다 . 그래서 장산혜근 ( 蔣山慧懃 1059~1117) 선사는 ‘ 불법즉시세법 ( 佛法卽是世法 ) 이요 세법즉시불법 ( 世法卽是佛法 ) 이라 ’ 고 한 것이다 . 월주 대종사의 걸음걸음 역시 세간법이 곧 불법이요 불법이 곧 세간법이었던 삶이였다 . 세상을 떠나서 따로 깨달음을 찾는 것은 그야말로 이름만 있고 실재하지 않는 ‘ 토끼뿔 ’ 과 ‘ 거북털 ’ 을 찾는 일이라고 일갈했다 . 그래서 “ 내가 살아왔던 모든 생애가 바로 임종게 아니겠는가 ?( 唯我全生涯 卽是臨終偈 )” 라는 마지막 말씀을 남길 수 있었던 것이다 .

세상사람들이 유언이라고 말하는 것을 절집에서는 임종게라고 부른다 . 괄허취여 ( 括虛取如 1720~1789 조선 ) 는 임귀게 ( 臨歸偈 ) 라고 했다 . 유게 ( 遺偈 ) 혹은 사세게 ( 辭世偈 ) 또는 열반송 ( 涅槃頌 ) 라고도 한다 . 깨침의 순간을 노래한 오도송 ( 悟道頌 ) 그리고 임종을 앞두고 남긴 열반송은 수행자의 내면세계를 압축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선 ( 禪 ) 문학의 백미로 불린다 . 특히 ‘ 문자사리 ’ 의 결정판인 임종게는 떠나는 이보다는 남아있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 . 그래서 남은 이들이 ‘ 멋진 임종게 ’ 에 필요이상으로 집착하는 경향도 나타나기 마련이다 .

송나라 혜홍각범 (1071~1128) 이 편집한 임간록 ( 林間錄 ) 에는 임종을 앞둔 스승 앞에서 제자들이 훌륭한 임종게를 남겨줄 것을 부탁하는 장면을 기록해 두었다 .

영암대본 ( 靈巖大本 ) 선사가 80 세에 임종하려고 하자 제자들이 이구동성으로 청하였다 .

“ 스님의 도는 천하에 두루하니 오늘 게송을 지어 말씀하지 않으면 임종하실 수 없습니다 .”

그 말을 들은 대본스님은 한동안 제자들을 물끄러미 바라보다가 말했다 .

“ 이 어리석은 놈들아 ! 나는 평소에도 게송짓기를 게을리 했는데 오늘이라고 특별히 무엇을 하라는 말이냐 ?”

앞뒤가 딱딱 맞아 떨어지는 절창 ( 絶唱 뛰어난 시 ) 으로 읽는 이의 심금을 울리는 임종게도 많지만 침묵 그 자체를 임종게로 남긴 경우도 부지기수다 . 현대의 봉암사 조실 서암 (1914~2003) 대종사는 ‘ 남길 말씀이 없느냐 ’ 는 제자들의 부탁에 “ 그 노장 그렇게 살다가 그렇게 갔다고 해라 ” 는 한 마디만 남겼다 . 삶도 별 것 아니지만 죽음 역시 별 것 아니라는 뜻일게다 .

어쨋거나 장자와 승조는 당신 삶의 편린을 12 자로 압축한 선시를 남겼다 . 하지만 보통사람까지 공감했던 열두자 명품 시도 외우려고 하니 힘이 들었다 . 그래서 서울 북한산 도선사 ( 道詵寺 ) 입구의 돌기둥에는 여덟자로 ‘ 확 ’ 줄여서 새겼다 .

천지동근 ( 天地同根 ) 이요 만물일체 ( 萬物一體 ) 라

하늘과 땅은 그 뿌리가 같고 세상만물은 하나다 .

글 원철 스님 / 조계종 불교사회연구소장

***이 시리즈는 대우재단 대우꿈동산과 함께 합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휴심정 많이 보는 기사

옆에서 보면 더 잘 보인다 1.

옆에서 보면 더 잘 보인다

경허선사가 술, 여자, 병자를 만나면 2.

경허선사가 술, 여자, 병자를 만나면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나옹선사는 3.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나옹선사는

미국 브루더호프 공동체 생활 15년…푸른 초원위 사랑·배려의 삶 있더라 4.

미국 브루더호프 공동체 생활 15년…푸른 초원위 사랑·배려의 삶 있더라

나를 찾는 방법은? 5.

나를 찾는 방법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