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휴심정 벗님글방

문 밖을 나가지 않아도 천하의 일을 모두 알다

등록 2021-08-26 09:04수정 2021-08-26 09:07

선시종가 1080 / 3. 문 밖을 나가지 않아도 천하의 일을 모두 알다

사진 픽사베이
사진 픽사베이

( 본문 )

현사불출령 ( 玄沙不出嶺 ) 하고

보수부도하 ( 保壽不渡河 ) 이나

불출문지천하사 ( 不出門知天下事 ) 라

현사 ( 玄沙 ) 가 고개를 넘은 적이 없고

보수 ( 保壽 ) 는 강을 건넌 적이 없다 .

모두 문 밖을 나가지 않았지만 천하의 일을 알았다 .

무진 ( 無盡 ) 거사 장상영 ( 張商英 1043~1121) 은 사천 ( 四川 쓰촨 ) 성 신진 ( 新津 ) 출신이다 . ‘ 유마경 ’ 을 통해 불가와 인연을 맺은 후 참선수행을 생활화한 송나라 거사불교를 대표하는 인물이다 . 벼슬살이를 하면서도 많은 선사들과 교유한 덕분에 선어록 여기저기에 몇가지 당신의 선문답까지 전한다 . 이 선시는 호구소륭 ( 虎丘紹隆 1077~1136) 어록에 기록되어 있다 . 등장하는 인물인 현사사비 (835~908) 와 보수 ( 保壽 = 寶壽 . 풍혈연소 896~973) 선사는 일주문 밖을 나가지 않았다고 했다 . 그렇다고 해서 세상 돌아가는 것을 모르는 것도 아니였다 . 그렇다면 그 비결이 무엇일까 ? 이를 신통력이라 고 부른다 .

( 해설 )

각종 문명기기의 발달로 인하여 집 안에만 있어도 세상 돌아가는 것을 모두 알 수 있는 시대다 . 각종 매체가 갖가지 세상 소식을 내 책상 앞에 배달까지 하면서 쏟아내기 때문이다 . 하지만 당사자에게 별로 필요없는 것도 무조건 들이댄다는 점에서 문제가 적지 않다 . 그래서 잘 골라서 듣고 봐야하는 숙제를 동시에 안겨주었다 . 어쨋거나 정보홍수 속에서 나름의 안목을 갖추고 있어야 휘둘리지 않는다 .

코로나 19 시대에 인위적 이동제한과 집합금지로 인한 새로운 풍속도가 생겼다 . 모이지 않아도 회의가 가능하고 출근하지 않아도 회사 일을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 등교하지 않아도 집에서 강의나 수업을 듣는 것도 어려운 일이 아니다 . 집안에서 집밖 일까지 할 수 있는 세상이다 . 설사 집 밖으로 나가더라도 cctv 와 핸드폰을 연결하면서 집안의 이상유무까지 살필 수 있다 . 이제 집안과 집밖이라는 구별이 없어진 것이다 .

오래 전부터 사람들은 천안통 ( 天眼通 ) 과 천이통 ( 天耳通 ) 이라는 신통력을 갖추길 꿈궜다 . 멀리 떨어진 곳에서 일어나는 일을 보고 들을 수 있는 능력이다 . 산이나 건물로 막혀 있거나 혹은 거리가 조금만 떨어져도 보고자 하는 것이 보이지 않는다 . 얇은 종이 한 장으로 앞을 가려도 육안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 일타 ( 一陀 1929~1999) 스님은 순천 송광사 삼일암에서 정진할 때 어느 날 사방의 벽이 없어지면서 밖이 훤하게 보이더라는 경험담을 들려 주었다 . 일종의 천안통에 해당된다 . 그 정도까지는 아니더라도 산길을 걸을 때 밤눈이라도 제대로 밝았으면 좋겠다 . 어두운 빗길 밤운전할 때 길바닥에 그어져 있는 노란선이라도 제대로 보였으면 좋겠다 . 책을 좀 오래 보더라도 눈이 침침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 왜냐하면 살아가면서 당장 필요한 천안통이 더 아쉽기 때문이다 .

언젠가 고요한 겨울 밤에 눈 쌓이는 소리를 듣고자 귀를 쫑곳 세웠던 일은 내심 천이통 ( 天耳通 ) 을 기대한 까닭이다 . 그 때 ‘ 소리 ’ 란 들리는게 아니라 차라리 보인다고 하는게 더 맞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 전화기와 도청장치는 좋은 의미건 나쁜 의미건 들을 수 없는 것을 듣게 해준다는 점에서 천이통에 가깝다고 하겠다 . 의사가 사용하는 청진기도 그 범주에 들어갈 것이다 . 굳이 고전적인 수행방법을 통하지 않더라도 기술문명의 힘을 빌리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천안통과 천이통을 갖추었다 . 오히려 너무 잘 보이고 잘 들려서 더 문제가 되는 세상이 되었다 .

사진 픽사베이
사진 픽사베이

하지만 이 정도로 만족할 수는 없다 . 서면 앉고 싶고 앉으면 눕고 싶고 누우면 자고 싶다고 했던가 . 한 단계 더 올라가서 해결해야 할 숙제는 타심통 ( 他心通 ) 과 숙명통 ( 宿命通 ) 이다 . 타심통은 남의 생각을 읽을 수 있는 능력이다 . 사극드라마에서 본 기억이 있는 관심법 ( 觀心法 ) 이 그것이라 하겠다 . 후삼국 시대에 궁예가 가졌다는 능력이다 . 수사할 때 종종 등장하는 ‘ 거짓말 탐지기 ’ 도 이 영역에 들어간다고 하겠다 . 하지만 그 때나 지금이나 자칫하면 ‘ 생사람 잡는 ’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 .

하지만 타심통보다 더 중요한 것은 ‘ 너 자신을 알라 ’ 는 숙명통 ( 宿命通 ) 이다 . 숙명통은 과거와 미래를 볼 수 있는 능력이다 . 인간의 전생과 내생을 논하는 것은 능력 밖의 일인지라 언급하지는 않겠다 . 하지만 이를 축소하여 경험적으로 유추해볼 수는 있겠다 . 어제는 나의 과거요 내일은 나의 미래다 . 왜냐하면 어제의 결과가 오늘이요 , 오늘은 또 다시 내일이라는 결과의 씨앗이기 때문이다 . 따라서 어제 오늘 내일 그리고 하루하루 스스로를 살피는 일을 생활화한다면 그것이 바로 실생활 속에서 숙명통을 갖추는 일이 아니겠는가 . 멀리서 찾지말라고 했다 . 밖에서도 찾지말라고 했다 . 숙명통도 이미 내 안에 갖추어져 있기 때문일 것이다 .

불출호신변시방 ( 不出戶身遍十方 ) 하고

불입문상재옥리 ( 不入門常在屋裏 ) 이어다

집을 나가지 않고서도 몸은 온 세상에 두루하고

문에 들지 않고서도 늘 집안에 있는 것처럼 하여지이다 .

글 원철 스님 / 불교사회연구소장

*** 이 시리즈는 대우재단 대우꿈동산과 함께 합니다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휴심정 많이 보는 기사

옆에서 보면 더 잘 보인다 1.

옆에서 보면 더 잘 보인다

경허선사가 술, 여자, 병자를 만나면 2.

경허선사가 술, 여자, 병자를 만나면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나옹선사는 3.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나옹선사는

미국 브루더호프 공동체 생활 15년…푸른 초원위 사랑·배려의 삶 있더라 4.

미국 브루더호프 공동체 생활 15년…푸른 초원위 사랑·배려의 삶 있더라

나를 찾는 방법은? 5.

나를 찾는 방법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