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휴심정 벗님글방

노마드 김삿갓 아픔이 민초의 아픔 어루만지다

등록 2022-01-24 09:01수정 2022-01-24 09:01

선시종가 1080 / 12. 나무마다 모두 흰옷을 입었네

강원도 영월계곡 김삿갓 문학길에 있는 김삿갓 석상. 사진 김선식 기자
강원도 영월계곡 김삿갓 문학길에 있는 김삿갓 석상. 사진 김선식 기자

( 본문 )

천황붕호인황붕 ( 天皇崩乎人皇崩 )

만수청산개피복 ( 萬樹靑山皆被服 )

명일약사양래조 ( 明日若使陽來弔 )

가가첨전루적적 ( 家家檐前淚滴滴 )

하늘황제 죽으셨나 땅의 임금 죽었는가 ?

푸른 산 나무마다 모두 소복을 입었네 .

만약 내일 햇님더러 조문하게 한다면

집집마다 처마 끝엔 눈물 뚝뚝 떨어지리 .

김병연 ( 金炳淵 1807~1863) 의 ‘ 설 ( 雪 )’ 이란 작품이다 . 그의 본관은 안동 , 호는 난고 ( 蘭皐 ) 이며 김립 ( 金笠 ) 으로도 불렀지만 ‘ 김삿갓 ’ 이란 애칭으로 더 유명하다 . 경기도 양주 회암사 인근의 회암동에서 태어났으며 전국을 방랑하면서 많은 작품을 남겼고 전남 화순 동복면에서 세상과 인연을 마쳤다 . 아들이 부음을 듣고 찾아가서 자기집 근처인 강원도 영월로 이장했다 . 연고지인 양주 , 화순 , 영월지역에는 시비 ( 詩碑 ) 는 물론 문화제와 백일장 그리고 갖가지 기념사업을 통해 시인을 선양하고 있다 . 특히 무덤이 있는 영월의 하동면은 2009 년 김삿갓면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 이 모든 것은 경성제국대학 출신인 이응수 ( 李應洙 1909~1964) 선생이 1939 년 『 김립시집 』 ( 출판사 유길서점 ) 을 출판했기에 가능한 일이다 .

강원 영월군 김삿갓면 와석리 ‘김삿갓 묘역’에서 본 김삿갓 조형물 옆에 김삿갓 복장을 한 공원 해설사가 함께 했다. 사진 김선식 기자
강원 영월군 김삿갓면 와석리 ‘김삿갓 묘역’에서 본 김삿갓 조형물 옆에 김삿갓 복장을 한 공원 해설사가 함께 했다. 사진 김선식 기자

( 해설 )

볼일이 있어 눈 내리는 종로길을 걸었다 . 잠깐 오다가 그치겠지 하고 나왔는데 그게 아니다 . 눈앞이 흐릿해질 만큼 계속 쏟아지는지라 회색 모자와 목도리 속으로 얼굴을 반쯤 숨겼다 . 걷기에는 다소 불편했지만 오가는 사람들 가운데 누구 하나 불쾌한 표정을 짓는 이가 없다 . 이것이 자연이 주는 힘인 모양이다 . 조심조심 반걸음으로 천천히 볼일을 마친 뒤 사무실로 돌아와서 이런저런 자료를 찾기 위해 인터넷을 검색했다 . SNS( 사회관계망서비스 ) 여기저기 눈 내리는 풍경을 찍은 사진과 함께 짤막한 감상을 적은 글들이 줄줄이 올라온다 .

누군가 김삿갓이 지은 설시 ( 雪詩 ) 를 올렸다 . 눈을 바라보는 관점이 요즈음 사람들과는 또다른 격을 보여준다 . 국상 ( 國喪 ) 을 당했을 때 문무백관은 물론 모든 백성이 흰옷을 입던 장면을 저절로 연상케 한다 . 사극에서 보던 그 광경이 눈에 선하게 그려졌다 . 삼황은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김삿갓은 『 사기 ( 史記 ) 』 ‘ 보삼황본기 ( 補三皇本紀 )’ 의 천황 ( 天皇 ) 지황 ( 地皇 ) 인황 ( 人皇 ) 설을 그대로 따랐다 . 알아듣는 것 조차 어려운 삼황오제의 복잡한 이름과 역할을 설명한 장황한 이론이 아니라 문자 그대로 하늘과 땅 그리고 인간을 다스리는 보편적인 개념으로서 임금을 상정했기 때문이다 .

임금의 죽음을 붕 ( 崩 ) 이라고 한다 . 법왕 ( 法王 ) 과 성군의 죽음에 대하여 사람은 말할 것도 없고 동물은 물론 산천초목까지도 슬퍼하기 마련이다 . 혜능 ( 惠能 638~713) 선사가 열반에 들었을 때 “ 숲과 나무가 하얗게 변했다 ( 林木變白 )” 라고 육조단경은 말하고 있다 . 김삿갓은 눈에 덮힌 산하대지와 나무들을 천황 혹은 인황의 죽음을 슬퍼하여 상복을 입은 것이라고 시각적으로 묘사했다 . 거기에 더하여 눈물이 뚝뚝 떨어진다는 청각적 의미까지 더했다 . 눈 ( 眼 ) 과 귀 ( 耳 ) 를 통해 눈 오는 날의 아름다움을 실감나게 묘사한 수작이라 하겠다 .

그의 삶은 고달팠다 . 처마 밑에서 비를 피하고 마당에서 부서진 개다리 소반에 차려주는 밥을 얻어 먹으며 평생 노마드로 살았다 . 때로는 글을 아는 사람을 만나 호사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그것은 어쩌다가 있는 드문 일이다 . 그래도 가는 곳마다 작품을 남겼고 풍자와 해학을 통해 백성들의 사랑을 한몸에 받았다 . 민중들의 정서를 가감없이 잘 대변했기 때문이다 . 하지만 ‘ 설 ( 雪 )’ 은 양반집안 출신다운 격조를 갖추었기 때문에 사대부 계층까지 많은 공감을 얻을 수 있었다 .

강원도 영월 김병연 묘. 사진 이병학 기자
강원도 영월 김병연 묘. 사진 이병학 기자

어쨋거나 할아버지가 홍경래난에 연루된 사건 이후로 100 여년 동안 벼슬길이 막힌 김삿갓 집안은 1908 년 ( 순종 2 년 ) 에야 비로소 복권된다 . 하지만 을사조약 (1905) 으로 인하여 대한제국도 이미 이름뿐인 나라가 되었는지라 벼슬할 일도 없었다 .

일제강점기에는 손자인 김영진은 15 세에 출가하여 청강스님이 되었으며 여주군 금사면 이포리에 석문사를 창건했다 . 1937 년 월전 장우성 ( 月田 張遇聖 1912~2005) 화백에게 탱화제작을 의뢰했다 . 두 집안은 이미 오래된 인연이 있는데다가 26 세 청년화가에게 70 세 노승이 한 부탁이었기에 거절할 수도 없었다 . 그래서 한번도 그려본 적이 없는 불화를 그리면서 저간의 앞뒤 사정을 1981 년 중앙일보 ‘ 남기고 싶은 이야기 ’ 코너에 기록해 두었다 . 월전미술관은 현재 경기도 여주 설봉공원 안에 자리잡고 있다 .

눈 내린 날 지은 시 한 편을 통해 벼슬할 수 없는 집안출신인 조선후기의 불우한 천재시인 김삿갓을 만났다 . ‘ 김립시집 ’ 을 간행한 이응수 선생은 해방 후 북한에서 활동한 지식인이었다 . 또 장우성 화백은 친일화가라는 평가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이력을 가졌다 . 이렇게 우리 근현대사에서 또다른 시대적 아픔들이 녹아있는 이면의 역사가 함께 함도 알게 되었다 . 눈 내리는 밤에 달님이 찾아와 세 사람을 조문한다면 또 눈물을 뚝뚝 흘리겠지 .

글 원철 스님/불교사회연구소장

***이 시리즈는 대우재단 대우꿈동산과 함께합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휴심정 많이 보는 기사

긍휼과 배려의 마음 1.

긍휼과 배려의 마음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나옹선사는 2.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나옹선사는

예수냐, 바울이냐 3.

예수냐, 바울이냐

법륜 스님, “관점을 바꿔보라” 4.

법륜 스님, “관점을 바꿔보라”

“악마묵주 사용말라”…천주교, 성물 모조품 경계령 5.

“악마묵주 사용말라”…천주교, 성물 모조품 경계령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