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애니멀피플 생태와진화

한 번에 7만ℓ 물 머금는 수염고래, ‘마개’로 질식 막아

등록 2022-01-21 14:45수정 2022-01-21 15:33

[애니멀피플]
먹이 삼킬 때 기도 통로 차단 기관 ‘구강 마개’ 발견…사람도 비슷한 구조
크릴과 함께 대량의 바닷물을 머금어 올챙이처럼 바뀐 수염고래의 모습. 물이 기도로 넘어가는 것을 막는 특별한 기관이 발견됐다. 제러미 골드보겐 외 (2017) ‘해양학 연례 리뷰’ 제공.
크릴과 함께 대량의 바닷물을 머금어 올챙이처럼 바뀐 수염고래의 모습. 물이 기도로 넘어가는 것을 막는 특별한 기관이 발견됐다. 제러미 골드보겐 외 (2017) ‘해양학 연례 리뷰’ 제공.

기도로 음식물이 넘어가지 않도록 하는 건 포유류의 생존에 꼭 필요한 일이다. 그러나 물속에서 막대한 양의 물과 함께 먹이를 머금은 뒤 먹이만 삼켜야 하는 수염고래에는 다른 동물에서 볼 수 없는 새로운 기관이 입속에 달린 것으로 밝혀졌다.

켈시 길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 박사 등은 21일 과학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실린 논문에서 “수염고래는 먹이활동 때 허파로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막는 구실을 하는 새로운 기관이 있음을 발견했다”며 이 기관에 ’구강 마개’라는 이름을 붙였다.

큰고래의 입을 벌린 모습. 중앙에 둥근 기관이 다른 동물에 없는 구강 마개이다. 켈시 길 외 (2022) ‘커런트 바이올로지’ 제공.
큰고래의 입을 벌린 모습. 중앙에 둥근 기관이 다른 동물에 없는 구강 마개이다. 켈시 길 외 (2022) ‘커런트 바이올로지’ 제공.

연구자들은 대왕고래 버금가는 대형 수염고래인 큰고래(긴수염고래)를 해부해 이런 사실을 밝혔다. 길 박사는 “이 기관은 물속을 돌진해 먹이를 잡는 다른 수염고래에도 달려 있을 것”이라고 보도자료에서 말했다.

수염고래의 ‘돌진 사냥’은 최근 구체적 내용이 밝혀지고 있는 놀라운 행동이다. 큰고래는 크릴 등 먹이가 밀집한 곳을 향해 입을 90도 각도로 벌리고 돌진해 한 번에 바닷물 7만ℓ와 함께 10㎏의 크릴을 입에 머금는다.

불과 몇 초 사이에 자기 몸무게보다 무거운 물을 입을 담은 고래는 올챙이 꼴이 되는데 1분 안에 입안의 물을 수염 사이로 내보낸 뒤 먹이만 삼킨다. 물의 저항이 엄청난 이 고된 작업을 고래는 물속에서 여러 시간 되풀이해 하루 1t의 크릴을 섭취한다.

수염고래의 사냥법. 입을 90도 각도로 벌린 채 전속력으로 크릴 떼를 향해 돌진해 물과 함께 입에 머금은 뒤 크릴만 걸러 삼킨다. 로버트 섀드윅 외 (2019) ‘생리학’ 제공.
수염고래의 사냥법. 입을 90도 각도로 벌린 채 전속력으로 크릴 떼를 향해 돌진해 물과 함께 입에 머금은 뒤 크릴만 걸러 삼킨다. 로버트 섀드윅 외 (2019) ‘생리학’ 제공.

연구자들은 “해부 결과 고래가 돌진 사냥을 할 때 구강 마개가 위로 올라붙어 기관으로 들어가는 구멍을 막고 동시에 먹이가 식도로 넘어가는 길은 여는 구조임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길 박사는 “사람도 수염고래처럼 음식을 삼킬 때 기도로 넘어가지 않도록 하는 비슷한 시스템을 갖췄다”며 그러나 “사람은 목과 입의 후두덮개와 연구개가 마개 구실을 한다”고 이 대학 보도자료에서 말했다. 그는 “아마 사람도 물속에서 음식을 먹을 수 있을지 모르지만 마치 잠수해서 입을 있는 대로 벌린 채 전속력으로 헤엄쳐 햄버거를 먹는 것과 비슷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큰고래에서 구강 마개(붉은색)의 위치와 작동 방식. 먹이를 삼킬 때 입천장으로 올라붙어 기도 통로를 막고 식도를 연다. 켈시 길 외 (2022) ‘커런트 바이올로지’ 제공.
큰고래에서 구강 마개(붉은색)의 위치와 작동 방식. 먹이를 삼킬 때 입천장으로 올라붙어 기도 통로를 막고 식도를 연다. 켈시 길 외 (2022) ‘커런트 바이올로지’ 제공.

이제까지 이런 기관이 알려지지 않은 것은 “고래에 관한 대부분의 지식을 돌고래 등 이빨고래에서 얻었기 때문”이라고 길 박사는 말했다. 돌고래는 식도와 기관이 분리돼 있어 구강 마개와 같은 기관이 불필요하다.

연구자들은 구강 마개를 고안함으로써 거대한 수염고래가 진화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공동 저자인 이 대학 로버트 섀드윅 교수는 “크릴 떼를 대량으로 걸러 먹는 것은 매우 효율적인 사냥법이어서 수염고래의 거대한 몸집을 지탱하는 유일한 방법”이라며 “구강 마개가 없었다면 지구 역사상 가장 몸집이 큰 고래는 출현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구 역사상 가장 큰 동물인 대왕고래 등 수염고래가 진화할 수 있었던 것은 유선형 몸매가 올챙이처럼 바뀔 정도로 다량의 바닷물을 크릴과 함께 머금을 수 있는 해부구조를 갖췄기 때문이다. 보통 때의 몸매(A)와 돌진 사냥 때의 모습(B). 제러미 골드보겐 외 (2017) ‘해양학 연례 리뷰’ 제공.
지구 역사상 가장 큰 동물인 대왕고래 등 수염고래가 진화할 수 있었던 것은 유선형 몸매가 올챙이처럼 바뀔 정도로 다량의 바닷물을 크릴과 함께 머금을 수 있는 해부구조를 갖췄기 때문이다. 보통 때의 몸매(A)와 돌진 사냥 때의 모습(B). 제러미 골드보겐 외 (2017) ‘해양학 연례 리뷰’ 제공.

인용 논문: Current Biology, DOI: 10.1016/j.cub.2021.12.040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애니멀피플] 핫클릭

[웹툰] 우린 계속 걷자 1.

[웹툰] 우린 계속 걷자

반려동물 방광암 예방, 방향제도 조심…먼지 제거 청소 열심히 2.

반려동물 방광암 예방, 방향제도 조심…먼지 제거 청소 열심히

새우가 바퀴벌레 ‘조상’이라던데, 사실인가요? 3.

새우가 바퀴벌레 ‘조상’이라던데, 사실인가요?

소·돼지 도살 직전까지 이런 고통 줘야 하나?…“당장 개선해야” 4.

소·돼지 도살 직전까지 이런 고통 줘야 하나?…“당장 개선해야”

원인 불명 고양이 신경·근육병증 확산…‘이 증상’ 땐 바로 병원으로 5.

원인 불명 고양이 신경·근육병증 확산…‘이 증상’ 땐 바로 병원으로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