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애니멀피플 야생동물

사랑한 뒤 수컷 잡아먹는 거미, 왜죠?

등록 2022-05-10 12:59수정 2022-05-10 13:35

[애니멀피플] 애피레터 맛보기: 홍섭’s 애피랩
아프리카 무당거미 암컷. 수컷은 스스로 앞다리를 잘라 암컷이 먹도록 해 짝짓기에 도움을 얻는 행동을 한다. 존 리드필드,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아프리카 무당거미 암컷. 수컷은 스스로 앞다리를 잘라 암컷이 먹도록 해 짝짓기에 도움을 얻는 행동을 한다. 존 리드필드,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자연과 동물의 세계는 알면 알수록 신비롭고 경이롭습니다. 애니멀피플의 주간 뉴스레터를 담당하는 댕기자(견종 비글·6살)가 36년차 환경전문기자 조홍섭 선임기자에게 신기한 동물 세계에 대해 ‘깨알 질문’을 던집니다.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동물 버전 ‘홍섭스 애피랩’ 전문은 애피레터에서 무료로 볼 수 있습니다. ▶▶애피레터 구독신청하기 https://bit.ly/3kj776R


Q 댕기자가 묻습니다
선배님, 짝짓기 뒤에 살아남기 위해 재빠르게 내빼는 수컷 거미 기사 흥미롭게 봤습니당. 흔히 사마귀나 거미들은 이렇게 짝짓기 뒤에 암컷이 수컷을 잡아먹는다고 알려졌잖아요. 보아하니 수컷 거미도 죽기 싫어서 ‘비상 탈출’을 하는 것 같은데 도대체 왜 암컷은 수컷을 잡아먹나요? 다른 동물들도 이렇게 짝짓기 뒤 상대를 잡아 먹는 일이 있나요?

A 조기자가 답합니다
인육을 먹는 사람을 카니발이라 하고 그런 행동을 카니발리즘(동종포식)이라고 해. 사람을 포함해 1500종 이상의 동물에서 보고돼 있으니 꽤 흔한 행동인 셈이야. 특히 물속 동물의 90%는 적어도 생활사의 한 시기에 동종포식을 해. 큰 올챙이가 작은 올챙이를 먹고 입 큰 개구리가 작은 개구리를 먹고…. 성체가 새끼를 잡아먹는 행동은 동종포식을 하는 포유류 종의 84%와 파충류 종의 80%에서 나타나.

왜 그런 짓을 하느냐고? 먹을 게 부족할 때 자기 몸과 비슷한 동종의 몸만큼 꼭 맞는 먹이가 어디 있겠어. 게다가 경쟁자의 입을 줄이는 효과도 나지. 그렇지만 역효과도 적지 않아. 당장 먹을 건 늘어나도 무리 규모가 작아지고 같은 종이니 병균이나 기생충에 쉽게 감염되지. 그런데 동종포식이 꼭 극단적인 먹이 부족에서 생기는 것만은 아냐. 질문한 성적 동종포식이 대표적 예이지.

거미나 사마귀, 전갈 등이 짝짓기를 하기 전이나 후 또는 도중에 상대를 잡아먹는 성적 동종포식을 하는데 먹히는 쪽은 대부분 수컷이야(최근 수컷이 암컷을 잡아먹는 뱀이 보고돼 화제가 되기도 했어). 왜 그럴까? 수컷은 자신의 정자를 남기고 다른 암컷을 찾아 떠나지만 암컷은 이후 힘든 생식과정을 도맡잖아. 암컷은 항상 부족하지. 만일 수컷이 암컷을 잡아먹는다면 결과적으로 수컷은 잠재적 짝짓기 상대를 잃는 셈이어서 그런 방향으로 진화가 일어나지 않아.

반대로 암컷이 수컷을 잡아먹어 충분한 영양분을 확보한다면 암컷은 충실한 알을 낳게 되고 수컷도 당장은 목숨을 잃어 다른 짝짓기 기회는 놓치더라도 더 튼튼한 자손을 남기기 때문에 꼭 손해만은 아니지. 실제로 짝짓기 때 수컷을 잡아먹은 북미산 낚시거미 암컷은 그렇지 않은 암컷보다 더 크고 많은 알을 낳았고 새끼의 생존율도 더 높았다는 연구결과도 나왔어.

그렇더라도 수컷 처지에서는 암컷과 교미하고 성공적으로 도망쳐 다른 암컷과 짝짓기를 계속하는 것이 가장 이득이잖아. 그래서 수컷들은 짝짓기가 끝난 뒤에도 암컷에게 잡아먹히지 않기 위해 각종 기상천외한 회피 전략들을 개발했지. 자 일단, 잔혹한 내용도 있으니 19금 표시 붙여둘게. 궁금하면 클릭하라구. (전문보기) ▶▶애피레터 최신호 보기 https://bit.ly/3kj776R

조홍섭 김지숙 기자 ecothin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애니멀피플] 핫클릭

지구 어디에나 있지만 발견 어려워…신종 4종 한국서 확인 1.

지구 어디에나 있지만 발견 어려워…신종 4종 한국서 확인

야생의 우파루파 ‘랜선 입양’하면 밥도 줄 수 있다 2.

야생의 우파루파 ‘랜선 입양’하면 밥도 줄 수 있다

새우가 바퀴벌레 ‘조상’이라던데, 사실인가요? 3.

새우가 바퀴벌레 ‘조상’이라던데, 사실인가요?

입술로 털에 붙은 기생충 고르다가…인류는 키스를 시작했을까 4.

입술로 털에 붙은 기생충 고르다가…인류는 키스를 시작했을까

나무집 줄까, 시멘트집 줄까…‘멸종위기’ 펭귄 위한 인간의 노력 5.

나무집 줄까, 시멘트집 줄까…‘멸종위기’ 펭귄 위한 인간의 노력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