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오전 세월호가 거치된 목포신항에서 현장수습본부 관계자들이 펄 세척 작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21일 전원회의 열고 조사 방향 논의
인양 지연·선체 천공·출입구 절단 등 의문 조사
기존 자료 검토 뒤 추가 과적·조타 문제 등 추적
인양 지연·선체 천공·출입구 절단 등 의문 조사
기존 자료 검토 뒤 추가 과적·조타 문제 등 추적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가 세월호 인양이 의도적으로 늦어졌는지를 조사하기로 했다.
선체조사위는 21일 2차 전원회의를 마친 뒤 기자회견을 열고 세월호 참사의 진상을 규명하기 위한 조사의 방향을 밝혔다. 선체조사위는 “영국의 감정기관 브룩스 벨과 국내 전문가 집단이 두 방향으로 사고 원인을 조사한다. 브룩스 벨은 인양한 선체의 형상을 근거로 사고 원인을 역추적하고, 국내 전문가 집단은 각종 자료와 기록을 검토해 이전 조사에 착오나 오류가 없는지 조사한다. 상호보완적으로 결론을 도출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선체조사위는 또 “인양이 의도적으로 늦어졌는지, 선체 천공을 의도적으로 했는지, 왜 선미 좌현 출입구를 절단했는지 등 의문을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침몰 당시 구조·구난작업이 제대로 이뤄졌는지는 선체조사위 설치법 제정의 취지를 고려해 조사 범위에 포함하지 않기로 했다.
김창준 선체조사위원장은 “검찰과 경찰, 법원, 해사심판원, 감사원 등지에서 전복 전까지 과정을 조사했다. 기록을 검토하고 현재까지 조사한 것보다 더 많은 양을 싣지 않았는지, 추가적인 조타 문제는 없었는지 등을 보겠다”고 말했다.
선체조사위는 다음 달 8일 시행령이 공포되면 조직 구성을 본격화한다. 다음 달 10일 채용 공고를 내고 6월 중순 조사관을 채용을 마친다. 그 전에는 민간 전문위원 9명과 해양수산부·행정자치부 등지에서 파견된 공무원 15명으로 설립준비단을 꾸려 활동한다. 사무실은 목포와 서울에 두기로 했다. 6월 하순에 조사 개시를 공식적으로 선언할 예정이다. 3개의 조사과를 설치해 △선체 사고 조사 △선내 유류품 유실품 조사 △선체 보존에 관한 조사 등을 나눠 맡는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이슈세월호 참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