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오후 전남 목포신항 사무실에서 열린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 5차 전원위원회의에서 김창준 위원장(왼쪽)이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연합뉴스
세월호에서 수거한 휴대전화의 디지털 정보 복원이 국가기관이 아닌 민간업체에서 이뤄지게 됐다.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선조위)는 13일 목포신항에서 위원 8명 중 6명이 참석한 전원회의를 열었다. 선조위는 이날 선체에서 수거한 휴대전화의 디지털 정보를 복원할 때 공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후 국과수)이 아닌 민간전문업체에 작업을 맡기기로 결정했다.
선조위는 복원을 국과수에 맡기는 방안을 토의했으나 과반수가 찬성하지 않아 부결시켰다. 이는 민간업체에 정보 복원을 맡긴다는 결정이다. 선조위는 최근 두 차례에 걸쳐 국과수에 유사사례, 전문인력, 소요기간 등을 문의해 아시아나 화물기 추락 때 침수된 휴대전화를 복원했고, 휴대전화와 블랙박스의 디지털 정보를 복원하는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는 답변을 받았다. 복원에는 보름 정도 걸리고 국가기관이어서 비용은 들지 않는다는 반응을 얻었다. 하지만 복원 때 참관인 참석과 폐회로카메라(CCTV) 촬영을 허용해 달라는 제안은 거부당했다.
선조위는 복원 과정이 공정하고 투명하게 이뤄져야 한다는 유가족의 의견을 중시해 이런 결정을 내린 것으로 분석된다. 인양 이후 세월호에서 수거한 휴대전화는 113점이고, 이 가운데 초기에 나온 15대는 민간업체에 맡겨 복원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까지 9대의 문자와 사진 등 정보가 복원됐다.
선조위는 또 선체 1~2층 화물칸 수색을 앞두고 레이저 빔을 활용해 선체 내·외부를 3차원으로 촬영하기로 했다. 3차원 기술을 활용하면 지면에 맞닿은 좌현과 진흙이 7m 쌓인 화물칸 내부를 정밀하게 기록할 수 있다. 화물칸을 수색할 때 구멍을 뚫고 절단을 하는 작업에 대비해 원래 모습을 기록한다는 의미도 갖는다. 세월호 화물칸에는 승용차와 승합차 124대, 화물차 52대, 특수차 9대 등 차량 185대가 실렸고, 각종 화물을 들어있는 컨테이너도 105개에 이른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