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식 강원시민사회 정책제안회의 위원이 16일 오전 강원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16개 도민 정책제안’을 발표하고 각 정당에 공약 채택을 요청하고 있다.
“빈집 등 남는 공간을 활용해 강원도를 떠나는 청년의 주거 지원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6·13 지방선거를 두 달여 앞두고 강원도내 시민사회단체들이 도민 의견을 수렴한 ‘도민 정책제안’을 발표했다.
강원시민사회 정책제안회의는 16일 오전 강원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16개 도민 정책제안’을 발표하고 각 정당에 공약 채택을 요청했다. 정책제안회의는 강원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와 강원도지속가능발전협의회 등 10개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했다.
이날 발표된 정책제안은 지난달 실시한 ‘강원도민 정책제안 공모전’과 지난 10일 열린 강원도민 정책제안 대회 등을 거쳐 환경과 복지, 교통,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16개 정책, 37개 세부목표, 120개 실행방안이 제시됐다.
항목별로는 △접경지역지원특별법 개정·접경지역의 지속가능한 개발 △남북 강원도 교류·협력과 평화통일 기반 조성 △사람 중심 교통정책과 교통약자 보호 △녹지총량제 도입과 도시공원 확보 △미세먼지로부터 안전한 강원도 △강원지역 생태교육 활성화 △맑은 물 하천 만들기 △전선선로·송전선로 지중화 △태양광·풍력발전소 산지입지제한과 제도 강화 등이다.
또 △보편적 출산·교육 복지 체제 △빈집활용 프로젝트 △유휴공간을 활용한 청년주거 지원정책 △산지의 지속가능한 개발과 관리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농촌·농업 회생 △작은학교 살리기를 위한 지역별 민·관협의체 구성 △강원도지속가능발전목표 수립·추진 등의 내용도 포함돼 있다.
이천식 강원도민정책제안조직위원회 위원(춘천도시농업센터 대표)은 “제안된 정책은 도민 100여명이 참여해 만들었다. 도민의 문제의식과 바람을 정리한 정책인 만큼 정치권에서 이번 지방선거의 공약으로 꼭 채택해달라. 정치권에서 마음껏 활용해달라”고 말했다.
정책제안회의는 앞으로 각 정당의 강원지사 후보와 정책협약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선거가 끝난 뒤에도 매년 도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제안과 함께 자치단체장의 시행정책 평가, 공약이행 평가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글·사진 박수혁 기자
ps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