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일 경기 양주시 삼표산업 채석장 붕괴·매몰사고 현장에서 경찰 등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합동 감식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기 양주시 삼표산업 채석장 붕괴 사망사고 수사를 관할 양주경찰서가 아닌 경기북부경찰청에서 전담한다.
경기북부경찰청은 “인명 수색작업이 마무리됨에 따라 경기북부경찰청 강력범죄수사대 안에 양주사고 수사전담반을 편성했다”고 4일 밝혔다. 전담반은 임학철 형사과장(반장)을 포함해 수사관 17명이 배치돼 사고의 책임소재 등을 가려낼 계획이다.
경찰은 사고 당일 토사붕괴 위험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었음에도 붕괴방지벽 등 안전시설을 설치하지 않아 참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경찰은 현재 현장 발파팀장을 업무상과실치사 혐의로 불구속 입건한 상태이며, 현장 관계자들을 추가로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 전날 진행된 산업안전보건공단 및 토목분야 전문가들과 진행한 합동 현장감식의 결과는 약 한달 뒤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3명이 사망한 이번 사고와 관련해 경찰은 업무상과실치사 혐의 수사에 주력하고 있으며, 중대재해처벌법과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혐의는 고용노동부에서 조사 중이다. 특히 이번 사고는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지 이틀 만에 발생해 삼표산업이 이 법에 의한 1호 처벌기업이 될 가능성이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경기도 양주 채석장 붕괴사고 사망자 발견 지점. 경기북부소방재난본부 제공
지난 2일 숨진 채 발견된 천공기 기사 정아무개(52)씨 부검도 이날 진행됐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부검 결과, 정씨 역시 다른 2명 사망자와 마찬가지로 ‘다발성 손상과 압착성 질식에 의한 사망'이라는 1차 소견이 나왔다. 앞서 지난달 29일 양주시 은현면 삼표산업 채석장에서 석재 발파를 위해 구멍을 뚫는 작업 중 토사 30만㎥가 무너져 내리면서 천공기와 굴착기 작업 노동자 3명이 매몰돼 숨졌다.
한편, 경기도는 이날 도내 채석장 안전관리 현안회의를 열어 포천시(4곳), 연천군(2곳), 파주시, 양주시, 안성시(각 1곳) 등 5개 시·군 채석장의 옹벽, 석축, 경사면과 산사태 취약지역 등에 대한 해빙기 안전관리를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