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광주에서 열린 ‘옛 전남도청 복원공사 설계용역 착수보고회’에서 ‘옛 전남도청 복원추진단’ 관계자가 복원 기본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5·18 최후 항쟁지’ 옛 전남도청 복원을 위한 기초 설계안이 나왔다. 상황실·상무관 등은 5·18 당시 모습으로 꾸며지고 26일 공개된 보안사 사진첩 등은 전시콘텐츠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27일 문화체육관광부 ‘옛 전남도청 복원추진단’은 옛 전남도청 별관 1층에서 ‘옛 전남도청 복원공사 설계용역 착수보고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번 보고회는 올해 3월 개최한 기본계획 용역결과 대국민설명회 이후 건물 형태 복원을 위한 설계 착수에 앞서 5월 단체와 시민들에게 기본 계획을 설명하고 의견을 수렴하는 자리다.
설계 용역을 맡은 아이에스피(ISP)건축사사무소 쪽은 옛 전남도청 본관에 대해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조성되며 설치된 내부 전시시설물, 승강기실, 공조실 등은 전면 철거한다고 설명했다. 도청 회의실과 별관으로 이어지는 연결통로도 다시 만들 계획이다.
본관과 인접한 전남도경찰국 건물도 전면 복원하되 이용자 편의를 위해 장애인·여성 화장실은 확충할 방침이다. 광주도시철도역과 문화전당을 잇는 방문자센터 승강기 존치 여부는 향후 5월 단체와 시민 결정에 따르기로 했다. 희생자들을 안치했던 상무관은 바닥마감재 등을 5·18 당시와 똑같이 꾸며 역사성을 살리기로 했다. 다만 당시 사진이 다수 있는 도청 내부와 달리 전남도경찰국과 경찰국 민원실은 관련 자료가 미흡해 복원에 난항이 예상된다.
이날 보고회에서 5월 단체 관계자들은 “페인트가 덧칠해져 알 수 없게 돼버린 건물 외벽 탄흔에 대해 복구해 달라”고 요구했다. 추진단 쪽은 향후 전문업체를 통해 탄흔 위치에 대해 조사하겠다고 답했다. 김도형 추진단장은 “공간 활용을 위한 전시콘텐츠 계획 수립은 내년에 진행할 예정으로,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 조사 결과와 26일 공개된 보안사 사진첩 등을 활용할 계획이다. 5·18 당시 관계자 증언과 자료가 절대적으로 필요해 많은 시민들의 도움을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예산 211억2천만 원을 투입해 옛 전남도청 6개 건물과 주변(총 면적 7460㎡)을 1980년 당시 모습으로 복원할 방침이다. 2020년 9월까지 설계용역을 완료한 후 2022년 12월 복원공사를 마칠 계획이다.
글·사진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