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문화일반

배우 윤정희 별세…영화처럼, 시처럼 살다 떠나갔네

등록 2023-01-20 10:08수정 2023-01-21 01:15

1967년 ‘청춘극장’으로 데뷔
2010년 이창동 감독 ‘시’로 주목
말년 알츠하이머로 투병
영화 <시>의 한 장면. 배급사 제공
영화 <시>의 한 장면. 배급사 제공

배우 윤정희가 19일(현지시각) 프랑스 파리에서 별세했다. 향년 79.

1960~70년대 은막의 스타로 크게 사랑받았던 고인은 알츠하이머병을 앓으며 투병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활동을 중단한 지 16년 만인 지난 2010년에 스크린 복귀작인 이창동 감독의 영화 <시>로 칸국제영화제 레드카펫을 밟으며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윤정희는 1944년 부산에서 태어나 광주에서 성장했다. 대학에 재학 중이던 1966년 합동영화사 주최의 신인배우 공모전에 참가해 1200:1의 경쟁을 뚫고 배우로 선발됐다. 김래성 소설을 원작으로 만든 영화 <청춘극장>(1967)로 데뷔해 그해 대종상과 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을 수상하며 단숨에 스타의 자리에 올랐다. 이후 해마다 30여편이 넘는 영화를 찍으며 문희·남정임과 함께 1960년대 여성 배우 ‘트로이카’로 불렸다.

영화 &lt;청춘극장&gt;에 출연한 윤정희. 배급사 제공
영화 <청춘극장>에 출연한 윤정희. 배급사 제공

<강명화>(1967), <아빠 안녕>(1968), <물망초>(1969) 등 멜로드라마, <안개>(1967), <까치소리>(1967), <장군의 수염>(1968) 등 문예영화(예술영화), <그 여자를 쫓아라>(1970), <황금70 홍콩작전>(1970) 등 액션물, <내시>(1968), <이조 여인잔혹사>(1969) 등 사극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작품에 출연하며 한국 영화계를 이끌었다.

고인은 영화배우로 바쁘게 지내면서도 대학 졸업 후 중앙대학교 연극영화과 대학원에 진학해 한국 여성 배우들의 변천사와 영화적 의미를 분석하는 논문을 써, 여성 배우 가운데 국내에서 처음으로 석사학위를 딴 학구적인 배우이기도 했다. 1973년 프랑스 파리로 유학을 떠난 그는 방학 때 귀국해 영화를 촬영하면서 학업과 영화 이력을 병행해 쌓아갔다.

영화 &lt;자유부인&gt; 포스터 중 일부. 배급사 제공
영화 <자유부인> 포스터 중 일부. 배급사 제공

고인은 1976년 프랑스에서 만난 피아니스트 백건우와 결혼해 잠정 은퇴하고 파리3대학에서 영화 공부를 이어나갔다. 이후 <자유부인>(1981), <위기의 여자>(1987) 등 몇편의 영화에 출연했으며, 1994년 엄종선 감독의 <만무방>에 출연하며 두번째 대종상 여우주연상을 탔다. 이후 16년 동안 영화 활동을 중단했다가 2010년 이창동 감독의 <시>에서 시를 쓰고 싶어 하는 가난한 노년 여성으로 출연해 관객들에게 큰 울림을 줬다. 이 작품으로 세번째 대종상을 수상했으며 칸국제영화제에서 레드카펫을 밟았다.

영화 &lt;만무방&gt;의 한 장면. 배급사 제공
영화 <만무방>의 한 장면. 배급사 제공

2019년 백건우씨 인터뷰를 통해 10여년째 알츠하이머 투병 중이라는 사실이 공개됐으며, 2022년에는 한국에 있는 형제들이 백건우씨와 딸에게 후견인 지위 이의 신청 소송을 하고, 백씨는 형제들이 연주비를 횡령했다고 고소하는 등 가족 간의 오랜 갈등이 알려지기도 했다. 유족으로는 남편 백씨와 딸 진희씨가 있다.

김은형 선임기자 dmsgu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해뜰날’ 가수 송대관 유족 후배들 슬픔 속 발인 1.

‘해뜰날’ 가수 송대관 유족 후배들 슬픔 속 발인

조선시대 자수 병풍의 발견…괴석과 모란 위에 박쥐가 날아다니네 2.

조선시대 자수 병풍의 발견…괴석과 모란 위에 박쥐가 날아다니네

“중증외상센터, 원작 소설 초월…주지훈 배우는 말 그대로 만찢남” 3.

“중증외상센터, 원작 소설 초월…주지훈 배우는 말 그대로 만찢남”

16살 박윤재, 로잔 발레콩쿠르 우승…한국 남자 무용수 최초 4.

16살 박윤재, 로잔 발레콩쿠르 우승…한국 남자 무용수 최초

노안이 오면 책을 읽으세요 5.

노안이 오면 책을 읽으세요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