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문화일반

별이 된 배우 윤정희, 끓는점 직전의 감정이 ‘시’가 될 때

등록 2023-01-20 11:35수정 2023-01-21 01:15

[배우 윤정희 별세]
“시를 쓴 사람은 양미자씨밖에 없네요”
애도의 윤리 보여준 영화 ‘시’와 윤정희
사춘기를 맞은 손자와 함께 살고 있는 미자(윤정희)는 손자의 성폭력 사실을 알게 되자 온 마음을 다해 피해자를 애도한다.
사춘기를 맞은 손자와 함께 살고 있는 미자(윤정희)는 손자의 성폭력 사실을 알게 되자 온 마음을 다해 피해자를 애도한다.

* 한국영화 탄생 100돌을 맞아 2019년 ‘한국영화 100년, 한국영화 100선’ 기획으로 다룬 영화 ‘시’ 기사를 다시  소개해드립니다. 

이창동 감독의 등장은 곧 새로운 서사의 등장이었다. 우린 그의 영화를 통해 한국영화에 존재하지 않았던 이야기를 만나게 되었다. 특히 <밀양>(2007)과 <시>(2010)는 ‘편안한’ 서사에 익숙한 관객들의 마음을 흔들며 한없는 혼돈으로 끌고 내려간다. <밀양>은 무고한 죽음에 대한 애통함의 감정을 피해자의 관점에서 보여주는데, 아들을 잃은 엄마(전도연)는 종교의 힘을 통해 용서하려 한다. 그렇다면 <시>는 가해자의 입장에 선 영화다. 손자의 범죄로 인해 한 소녀가 자살했다. 여기서 할머니인 미자(윤정희)는 손자를 구하려 하지 않는다. 대신 소녀를 애도한다.

동네 문화원에서 ‘시’ 강좌를 수강한 미자(윤정희)는 손자의 폭력에 세상을 떠난 소녀의 죽음을 애도하는 시 한 편을 남기고 떠난다.
동네 문화원에서 ‘시’ 강좌를 수강한 미자(윤정희)는 손자의 폭력에 세상을 떠난 소녀의 죽음을 애도하는 시 한 편을 남기고 떠난다.

<시>는 한 편의 시를 완성하려는 여성의 이야기다. 그 과정이 고통스러운 건, ‘시작’(詩作)이라는 순수한 예술적 행동이 타협할 수 없는 현실과 충돌하기 때문이다. 그 대립 구도를 통해 <시>는 <밀양>보다 훨씬 더 거칠게 모순의 현실을 드러낸다. ‘합의’라는 이름으로 억울한 죽음은 무의미하게 소멸되려 하고, 죄인들에겐 그 어떤 형벌도 가해지지 않는다. 여기서 유일하게 그 죽음에 대해 진심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시인’이 되려는 미자다. 시를 쓰는 것이 그토록 힘들고 고통스러운 건, 미자에겐 인간으로서 지녀야 할 도리가 남아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미자는 시 한 편을 남긴다.

<시>는 반성을 촉구하기보다는 질문을 던지는 영화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에서 도덕과 윤리는 무엇인가. 시를 쓴다는 것, 즉 예술을 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어떤 죽음에 대해 진심으로 생각한다는 건 어떤 의미인가. 이러한 질문들은 관념에 머물지 않고 미자의 실천을 통해, ‘아네스의 노래’라는 시를 통해 관객에게 묵직한 대답처럼 전해진다.

<시>는 한국영화의 서사가 도달할 수 있는 가장 깊은 풍경 중 하나다. 조용하고 단순해 보이지만 그 안엔 끓는점 직전의 감정이 있고, 그 힘은 시로 승화된다. 이것은 타락하고 둔감한 진흙탕 같은 세상에서 연꽃을 피우려는 의지이며, 이 영화에 감히 ‘숭고하다’라는 표현을 쓸 수 있는 이유이다.

김형석/영화평론가

※한겨레·CJ문화재단 공동기획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해뜰날’ 가수 송대관 유족 후배들 슬픔 속 발인 1.

‘해뜰날’ 가수 송대관 유족 후배들 슬픔 속 발인

조선시대 자수 병풍의 발견…괴석과 모란 위에 박쥐가 날아다니네 2.

조선시대 자수 병풍의 발견…괴석과 모란 위에 박쥐가 날아다니네

“중증외상센터, 원작 소설 초월…주지훈 배우는 말 그대로 만찢남” 3.

“중증외상센터, 원작 소설 초월…주지훈 배우는 말 그대로 만찢남”

16살 박윤재, 로잔 발레콩쿠르 우승…한국 남자 무용수 최초 4.

16살 박윤재, 로잔 발레콩쿠르 우승…한국 남자 무용수 최초

노안이 오면 책을 읽으세요 5.

노안이 오면 책을 읽으세요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