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문화일반

현미가 남긴 삶의 노래…‘떠날 때는 말 없이’ ‘내 걱정은 하지마’

등록 2023-04-05 13:20수정 2023-04-06 11:52

현미 삶을 꿰뚫는 노래 넷
‘밤안개’를 부르는 현미. 유튜브 영상 갈무리
‘밤안개’를 부르는 현미. 유튜브 영상 갈무리

가수 현미(본명 김명선)의 갑작스러운 별세에 많은 이들이 안타까워하고 있다. 85살 나이에도 지치지 않는 열정으로 왕성하게 활동하던 그이기에 더욱 그렇다. 66년에 이르는 음악인생뿐 아니라 그의 삶 자체를 대변하는 노래 네 곡을 통해 고인을 기려본다.

밤안개’(1962)

1938년 평양에서 태어난 현미는 한국전쟁 당시 남쪽으로 내려왔다. 그는 19살이던 1957년 미8군 무대를 통해 연예 활동을 시작했다. 처음에는 무용수로 무대에 올랐지만, 공연을 펑크 낸 가수의 대타로 마이크를 잡으면서 주목받았다. 그해 3인조 걸그룹 현시스터즈로 데뷔한 이후 1962년 솔로 1집을 발표했다. 미8군 무대부터 눈여겨본 작곡가 이봉조가 앨범 작업을 이끌었다.

이 앨범 수록곡 ‘밤안개’는 현미라는 이름을 널리 알린 히트곡이다. 미국 가수 프랭크 시나트라, 냇 킹 콜 등이 부른 재즈 스탠더드 ‘잇츠 어 론섬 올드 타운’(It’s A Lonesome Old Town)을 번안한 노래다. 이봉조가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냇 킹 콜의 노래를 듣고 반해 번안곡으로 만들었다. 현미가 허스키한 재즈 창법으로 부른 노래는 지금까지도 현미의 대표곡으로 남았다. 코미디언 김숙이 이 노래를 부르는 현미를 패러디하기도 했다. 김숙은 “현미 선생님이 내 개그를 봤다며 계속하라고 격려해줬다. 다만 ‘나는 (너처럼) 초라한 드레스는 안 입는다. 내가 화려한 드레스 몇개 주겠다’고 하시더라”는 일화를 공개한 바 있다.

1998년 3월 중국 장춘의 한 호텔에서 울면서 이야기하는 동생 김길자씨의 눈물을 닦아주는 현미. 연합뉴스
1998년 3월 중국 장춘의 한 호텔에서 울면서 이야기하는 동생 김길자씨의 눈물을 닦아주는 현미. 연합뉴스

‘보고 싶은 얼굴’(1964)

8남매 중 셋째인 현미는 1·4 후퇴 당시 부모님, 형제자매와 함께 남쪽으로 왔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어린 두 여동생을 북에 남겨두게 됐다. 현미는 헤어진 두 동생을 평생 그리워했다. 그 마음을 대변하는 노래가 ‘보고 싶은 얼굴’이다. ‘김수임 간첩 사건’을 다룬 1964년 개봉 영화 <나는 속았다>의 주제가로, 이봉조가 작곡했다. 현미는 “눈을 감고 걸어도/ 눈을 뜨고 걸어도/ 보이는 것은 초라한 모습/ 보고 싶은 얼굴”이라고 노래했다.

현미는 헤어진 지 47년 만인 1998년 3월 중국 장춘에서 동생 김길자씨를 만났다. 현미는 훗날 “동생이 자신을 버리고 갔다고 울더라. 사실은 버리고 간 것이 아니다. 동생이 북한이 추워서 손톱, 이빨이 다 빠졌더라. 그래도 살아서 만날 수 있는 게 어디냐”고 당시를 떠올렸다. 현미는 이후에도 동생들을 만나고자 애썼으나 끝내 소원을 이루지 못했다. 두 동생의 생사는 현재 확인되지 않는다.

&lt;한겨레&gt; 자료사진
<한겨레> 자료사진

‘떠날 때는 말 없이’(1964)

신성일, 엄앵란 주연 1964년 개봉 영화 <떠날 때는 말 없이>의 동명 주제가로, 역시 이봉조가 작곡했다. 당대 최고 스타 배우가 출연한 영화는 물론이고, 현미가 부른 노래 또한 크게 히트했다. 현미는 1997년 발매한 자서전 <오늘을 마지막 날처럼>에서 ‘떠날 때는 말 없이’를 담은 앨범을 가장 아낀다고 밝히기도 했다.

현미는 서울 용산구 이촌동 자택에서 홀로 지냈다. 이봉조와의 사이에서 낳은 두 아들은 미국에서 살고 있다. 이봉조는 1987년 먼저 세상을 떠났다. 4일 오전 9시37분께 자택에서 쓰러져 있는 현미를 발견한 이는 팬클럽 회장이었다. 가수는 자신의 노래처럼 된다는 속설처럼 그는 말 없이 떠났다. “두고두고 못다 한 말/ 가슴에 새기면서/ 떠날 때는 말 없이/ 말 없이 가오리다”라는 노래만이 남았다.

&lt;한겨레&gt; 자료사진
<한겨레> 자료사진

‘내 걱정은 하지마’(2017)

현미는 2007년 데뷔 50돌을 맞아 연 기자회견에서 “80년이든 90년이든 이가 확 빠질 때까지 노래할 것”이라며 “은퇴는 목소리가 안 나올 때 할 것이다. 멋지고 떳떳하게 사라지는 게 참모습”이라고 의욕을 보였다. 그는 약속대로 우리 나이로 80살이던 2017년 신곡 ‘내 걱정은 하지 마’를 발표했다. 과거의 재즈 스탠더드 스타일과 달리 경쾌한 트로트 노래다.

“가는 세월도 먹는 나이도/ 나 혼자면 외롭겠지만/ 친구들과 어울려 함께 간다면/ 사는 게 재미가 있어/ 사는 건 멋진 일이야”라는 노랫말처럼 그의 주변엔 늘 친구들이 넘쳤다. 그 친구들을 비롯해 수많은 이들이 진심으로 고인을 기리고 있다. 하늘에서 그는 이렇게 노래할 것 같다. “내 걱정은 하지 마/ 나는 나는 끄떡없어”

서정민 기자 westm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구준엽 아내 서희원 숨져…향년 48 1.

구준엽 아내 서희원 숨져…향년 48

“우리 노동자의 긍지와 눈물을 모아”…‘저 평등의 땅에’ 작곡 류형수씨 별세 2.

“우리 노동자의 긍지와 눈물을 모아”…‘저 평등의 땅에’ 작곡 류형수씨 별세

웹툰 플랫폼 ‘피너툰’ 서비스 일방 종료…작가들 “피해 보상” 3.

웹툰 플랫폼 ‘피너툰’ 서비스 일방 종료…작가들 “피해 보상”

2025년 ‘젊은작가상’ 대상에 백온유…수상자 7명 전원 여성 4.

2025년 ‘젊은작가상’ 대상에 백온유…수상자 7명 전원 여성

넷플릭스 예능에 필리핀 복싱 영웅 파퀴아오 출연한다 5.

넷플릭스 예능에 필리핀 복싱 영웅 파퀴아오 출연한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