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7일 촛불집회 무대 리허설 중인 가수 이상은.
가수 이상은이 촛불집회 무대에 선다. 1월7일 토요일의 촛불집회는 ‘세월호 1000일’을 이틀 앞두고 세월호 진상규명과 인양을 기원하며 ‘세월호 추모 문화제’로 꾸며진다. 이상은이 이 촛불집회 무대에 서는 것은 지난해 단원고 교실 이전 전 8월19일 열린 ‘기억과 약속의 밤’ 문화제에 참석한 인연이 걸쳐 있다. 그날을 기록한 이상은 공연 사진의 설명에는 “가수 이상은이 서럽게 울고 있다”라고 적혀 있다.
“이번 정권에서 속상한 일이 많지만 그중에 세월호가 가장 속상해요.” 촛불집회 공연 전 리허설이 끝나고 만난 이상은씨는 이렇게 말했다. 지난해 ‘기억과 약속의 방’ 문화제에서는 이상은이 무대에 오르기 전에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아이들의 이름이 하나하나 불려졌다. “무대에 오를 때 이미 너무 많이 울었다. 그래서 노래를 울면서 했다.” 단원고 학생이 “부모님들이 많이 위로를 받은 것 같다”고 이메일을 보내왔던 것을 기억한다. “당시에는 세월호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는 사람이 별로 없었죠. 단원고에 갔는데 너무너무 우울했어요. 무서울 정도로.” 그러니 눈물이 그치질 않았다. “그런데 지금은 다르죠. 세월호 인양도 시간 문제 아닐까요. 전국민이 관심을 가지고 있고. 정말 다행입니다.”
촛불집회에서 부르는 곡은 대중적으로 가장 많이 알려진 ‘언젠가는’과 ‘어기야 디여라’ ‘새’다. 노래들은 모두 좋은 세상에 대한 염원을 담고 있다. “이것도 싸우는 일이잖아요. 너무 당연한 걸 주장하기 때문에 지칠 수도 있는데, 계속해야죠. 마음의 위로가 되는 노래를 하려고 합니다.”
1988년 강변가요제에서 ‘담다디’로 대상을 수상하며 그야말로 혜성같이 등장한 이상은은 바쁜 스케줄 속에서 자신이 소모되고 있다는 생각에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는 결단을 내렸다. 외국에서 이상은은 앨범을 1~2년마다 발표하며 독보적인 음악 세계를 확립하고 있음을 알렸다. 4집 <비긴>에서 ‘하우스 뮤직’을 선보이고 6집 <공무도하가>는 전통 가락을 끌고 와 새로운 경지를 선보였다. 미국에 이어 일본에서의 10년 생활까지 오랜 외국생활을 접고 한국에 돌아온 뒤 홍대 인디씬을 활동 반경으로 삼으며 꾸준히 음악을 발표하고 있다.
“현장에 있으면 느낍니다.” 그는 측근의 국정 농단이 문화예술계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이렇게 말했다. “이명박-박근혜 정권 들어서 문화 진흥책이 모두 아이돌 중심으로 돌아가고 있어요. 한때 인디 뮤지션을 위한 공연도 많이 만들어지고, 대중적이지는 않더라도 생각할 거리를 던지는 프로젝트에 지원이 이뤄졌어요. 블랙리스트가 아니더라도 느낄 수 있죠.” 2012년 문화방송 라디오 <골든디스크>를 진행하던 때에는 피디가 잘려나는 것을 지켜보았다. 그리고 박근혜 정권 4년. “시사 프로그램도 없지만 음악 프로그램도 없죠.”
예전 앨범을 지금 들어도 여전히 좋지만, 이상은은 여전히 음악적 도전을 계속하고 있다. 2010년의 <위아메이드오브더스트>는 일렉트로니카 음악을 시도했다. 2012년의 <블리스>에서는 디제이들과 이전의 곡들을 리믹스했다. 2014년 발표한 <루루>에서는 믹싱을 빼고는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혼자서 해냈다. “지금도 온라인 강의를 듣고 있어요. 작곡법, 화성법 이런 것도 다시 보고 있어요.” 그는 7월 즈음 앨범을 발표할 것 같다고 말한다. “이전 곡들이 슬픈 곡들이 많다면 위로가 되는 곡들을 쓰고 싶어요. 위로라는 것은 슬픈 것도 기쁜 것도 아닌 미묘한 감정상태더라고요. 나 자신이 힘든 채로 있을 수 없어서 극복을 위해서 지은 곡들에 많은 위로를 받는 것 같아요.”
사회적인 감수성에서도 그의 예언가적 예술성은 통한다. 이상은이 5집 <공무도하가>를 발표하면서 부모성을 함께 쓴 ‘리채’라는 이름을 내세웠다. 1995년이다. 여성계 인사 등 170명이 부모성을 같이 쓰기 운동을 시작한 것이 1997년이니 아주 빠른 셈이다. 2014년 2월 발표한 발표한 <루루>(lulu)의 ‘태양은 가득히’ 가사에는 이런 내용이 있다. “어둠은 빛을 이길 수가 없어요. 아무리 작은 촛불 하나라 해도 내 마음 속엔 태양이 가득해요. 그대 마음속에 태양이 눈부시게 반짝여요.” 1월7일 날씨는 포근하고 광장은 인파로 차오르고 있다. 광화문은 점점 ‘더 좋은 세상’에 대한 염원을 담는 공간이 되어가고 있다.
구둘래 기자
anyo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