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판] 박홍규의 이단아 읽기
(27) 데이비드 그레이버(1961~2020)
제국주의 침략 첨병이던 인류학을
자본주의 비판 대안학문으로 바꿔
‘월가 시위’ 등으로 예일대서 해고
‘부채, 그 첫 5000년’ 등 큰 족적
(27) 데이비드 그레이버(1961~2020)
제국주의 침략 첨병이던 인류학을
자본주의 비판 대안학문으로 바꿔
‘월가 시위’ 등으로 예일대서 해고
‘부채, 그 첫 5000년’ 등 큰 족적
데이비드 그레이버. 2007년 뉴욕 유니언 광장에서 열린 이민권 집회장에서. 위키피디아
영화 <배트맨>을 비판한 까닭 1961년 뉴욕의 유대인 노동자 가정에서 태어난 그레이버는 뉴욕주립대와 시카고대에서 공부하고 1989년부터 약 2년간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에서 연구했는데 그것이 그의 학문에 기초가 되었다. 1998년부터 학생들을 가르친 예일대는 2005년 그를 해고했다. 노조에 가입해 제명된 제자를 지지한 탓이라고 그는 말했으나, 더 큰 이유는 1999년 시애틀에서 열린 세계무역기구(WTO) 반대 시위 이후 각종 시위에 참여했던 이력 때문이었을 것이다. 저명한 인류학자들을 위시해 4500명 이상이 예일대를 비판하고 그레이버를 지지하는 탄원서에 서명했으나 소용없었다. 그 뒤 미국에서 20개 이상의 연구직에 지원했으나 모두 거부당했다. 이것이 미국 대학이다. 그나마 영국 대학은 조금 나아서 2008년부터 런던대 골드스미스 칼리지, 2013년부터 런던정경대학원에서 가르쳤다. 그러나 그는 학계를 끔찍이도 싫어했다. 예일대처럼 부끄러운 짓을 일삼기 때문만은 아니었다. 노동자 출신답게 학계의 엘리트주의와 학맥주의를 혐오한 그는 학자들의 천박한 종파주의 속물근성을 철저히 거부했다. 미국 학계의 추방은 그를 제거하기는커녕 그의 가장 중요한 저서인 <부채, 그 첫 5000년>을 낳았다. 월가를 점령한 2011년에 나온 그 책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대기업은 부채를 탕감받고 공적 자금으로 구제된 반면 개인은 대출금 반환에 끝없이 시달리는 모순을 계기로 집필됐다. 경제사를 부채사로 보는 그에 의하면 역사적으로 실물 화폐보다 부채가 먼저고 인류 초기의 부채는 공동체 유대를 강화하는 힘이었다. 그래서 중동(오리엔트)에서는 주기적인 부채 탕감이 이루어졌고 중세 종교들은 이자 대출을 금지하여 채무자를 보호했다. 그러나 인간의 모든 행위가 일대일 교환으로 규정되면서 부채가 사회를 파괴할 수 있는 위협으로 등장했다. 특히 현대에 와서 채무자가 아닌 채권자를 보호하기 위한 조직인 국제통화기금(IMF)이 미국 주도로 세계 경제를 파괴한다. 아프리카를 비롯해 전세계에서 차입금이 커지자 국제통화기금은 지원 조건으로 구조조정을 요구했고, 각국은 농업보조금이나 의료 등의 사회서비스 예산을 삭감해야 했다. 그래서 그레이버가 현장 연구를 한 마다가스카르에서는 사라졌던 말라리아가 다시 창궐해 1만명 이상이 죽었다. 코로나19에서도 구조조정으로 인한 공공의료의 후퇴가 문제다. 그래서 세계적으로 공공의료 확충이 요구되고 있는데 한국에서만은 거꾸로 의사들이 나서서 반대하는 반사회적 코미디가 벌어지고 있다.
데이비드 그레이버. 위키피디아
“관료적 봉건주의에 빠진 전문직” 민주주의는 서양에서 시작되었고 서양 것이 진짜니 최고니 하지만 이번 코로나 사태로 그것이 거짓임이 드러났다. 특히 미국 민주주의는 트럼프라는 괴물과 함께 반민주의 계급적인 것임이 드러났다. 미국에서는 돈이 주인이니 민주주의가 아니라 돈주주의다. 특히 의료가 돈이다. 누가 그렇게 만들었나? 의사들이다. 의사니, 변호사니, 목사니 하는 ‘사’자들이 주인인 ‘사주주의’ 세상에 우리는 살고 있다. 그레이버의 저서 중에 가장 흥미로운 책인 <쓸데없는 직업>에서 그 직업을 가진 사람들조차 존재해서는 안 된다고 느끼거나 필요하지 않다고 느끼는 직업의 전형으로 전문직, 경영직, 사무직, 판매직, 서비스직을 들었다. 그리고 그들의 특성을 관료적 봉건주의라고 했다. 나도 오래전부터 전문가 바보 내지 사기성을 비판해왔다. 특히 병원이 병을 만든다고 했다. 그러나 소위 전문가 물신이 지배하는 계급국가인 탓인지 그 책은 번역되지 않았다. 제국주의 침략의 첨병으로 출발한 인류학을 자본주의 비판의 대안 학문으로 탈바꿈시킨 그레이버의 공로는 그야말로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또한 19세기 이래 개인의 절대적 해방을 추구하는 초개인주의나 극좌적 경향의 투쟁적 아나키즘이 여전히 대립하고 있는 불모의 아나키즘을 거부하고, 권위주의에 대항하는 모든 운동에서 아나키즘을 찾고자 한 그의 노력이 이어지지 못해 못내 아쉽지만, 그것은 그가 우리에게 남긴 숙제다.
▶ 박홍규 : 영남대 명예교수(법학). 노동법 전공자지만, 철학에서부터 정치학, 문학, 예술에 이르기까지 관심의 폭이 넓다. 민주주의, 생태주의, 평화주의의 관점에서 150여권의 책을 쓰거나 번역했다. 주류와 다른 길을 걷고, 기성 질서를 거부했던 이단아들에 대한 얘기를 격주로 싣는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