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여행·여가

김중혁의 ‘달콤한 끼니’ - 이탈리안 피자 전문점

등록 2006-08-02 20:40수정 2006-09-05 15:34

세련된 맛, 이태원 ‘라타볼라’
우직한 맛, 대학로 ‘디마떼오’
촉촉+바삭, 나무가마로 구운 ‘야누스의 맛’

(비)웃을지 모르겠지만 21살 때 피자를 처음 먹어보았다. 라지(L)였는지, 엑스라지(XL)였는지, 보름달만한 크기의 피자가 나를 압도했다. 두께도 만만치 않았다. 이걸 어떻게 다 먹어라고 말하면서 끝까지 다 먹었다. 다 먹고 난 후의 감상은 단순했다. 뭐, 좀 느끼하네. 20년 동안 김치와 된장으로 단련된 몸이었으니 그럴 만도 했다. 그 후로도 가끔 피자를 먹긴 했지만 빈대떡이 더 입에 맞았다. 피자에는 온갖 토핑이 풍성했고, 빵의 테두리에까지 갖가지 재료가 들어 있었지만 빈대떡 같은 아삭한 맛도 없었고 뭉근한 맛도 없었다. 끊어질 듯 끈질기게 달라붙는 피자치즈만 조금 신기했다. 그 체인점의 피자가 미국식 피자였다는 사실을 안 것은 그로부터 까마득한 후였다.

오랜 시간이 흐른 후 이탈리안 피자를 처음 먹었을 때 피자에 대해 오해하고 있었다는 걸 알게 됐다. 이탈리안 피자의 가장 놀라운 점은 반죽(도)이었다. 나무가마에서 구운 피자의 도는 두 얼굴을 가진 괴물과 같았다. 미국식 피자에 대면 종잇장이라 불러도 될 만큼 얇은 도의 한가운데는 손가락이 쑥 들어갈 것처럼 촉촉했고, 바깥쪽은 과자 뺨칠 정도로 바삭거렸다. 나무가마이기에 가능한 맛이었다. 나무가마는 수분을 적게 흡수하기 때문에 도의 한가운데는 촉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 바깥쪽이 바삭한 것은 반죽을 칠 때 밀가루가 바깥으로 몰리기 때문이다. 밀가루가 몰린 부분은 밀도가 높아지고 공기가 적어지는데 이 때문에 바삭해지는 것이다. 바탕만 맛있다면 토핑이 시원찮아도 훌륭한 피자가 될 수 있다는 게 신기했다. 피자는 토핑 맛이 아니라 빵 맛이었다.

이탈리안 피자의 감동을 느끼고 싶을 때면 이태원의 이탈리안 레스토랑 라타볼라(02-793-6144)를 찾아간다. 모차렐라 치즈와 토마토 홀, 바질만 들어가는 ‘피자의 기본’ 마르게리타, 매운 살라미가 들어가는 디아볼라, 달걀이 들어가는 카프리치오사 등 어떤 피자를 먹어도 실망하지 않는다. 무엇보다 나무가마에서 구운 도가 맛있기 때문이다.

이탈리안 피자 하면 많은 사람들이 나폴리를 떠올린다. 이탈리아를 여행하는 많은 사람들이 피자를 먹으려고 나폴리로 향한다. 하지만 이탈리안 피자에도 두 종류가 있다. 나폴리 스타일과 대도시 스타일. 나폴리식은 도가 두껍고 맛도 우직하다. 대학로의 피자전문식당 디마떼오(02-747-4444)가 나폴리 스타일의 전형이라 할 수 있다. 라타볼라는 도가 얇고 세련된 맛을 내는 대도시 스타일에 가까운 편이다. 장단점이 있지만 도의 맛을 우선시하는 나로서는 라타볼라에 더 자주 가게 된다.

피자를 너무 좋아하다 보니 집에서도 피자를 만들어 먹게 된다. 피자만큼 손쉬운 음식이 없다. 커다란 반죽을 만든 다음 100그램씩 분리해 냉동실에 넣어두면 먹고 싶을 때마다 간편하게 먹을 수 있다. 반죽만 잘 만들어졌다면 그 위에 뭘 얹든 상관없다. 안초비를 넣어도 좋고, 소시지를 얹어 먹을 수도 있고, 감자도 좋다.

하지만 나무가마의 맛만큼은 내기가 어렵다. 두 얼굴을 가진 괴물의 맛을 느끼고 싶으면 또다시 라타볼라에 가는 수밖에 없다. 한 가지 경고. 라타볼라의 피자는 짭짜름한 편이다. 하지만 아무리 짜다고 해도 피자 체인점에서 서비스로 주는 피클 한 접시보다는 소금양이 적으니 안심하시라. 그리고 계속 먹다 보면 그 짠맛 속에서 달콤함도 느낄 수 있다.

소설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