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미 연준, 금리 0.25%p 추가 인상…한-미 금리 역전폭 2%p로 확대

등록 2023-07-27 17:19수정 2023-07-28 16:20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의장이 26일(현지시각)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금리 인상을 발표하고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의장이 26일(현지시각)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금리 인상을 발표하고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중앙은행이 금리 추가 인상을 단행해 22년 만의 최고 수준으로 금리를 끌어올렸다. 이에 따라 이미 사상 최대치인 우리나라와 미국 간 정책금리 차이가 더 벌어지게 됐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26일(현지시각) 열린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연방기금금리 목표 범위를 종전 연 5~5.25%에서 5.25~5.5%로, 0.25%포인트 높이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인터넷 관련 기업의 대규모 부실이 불거지며 ‘닷컴버블 사태’가 발생한 2001년 3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의 정책금리다. 연준은 정책 결정문에서 “경제활동이 완만한 속도로 확장하고 있는 가운데 여전히 인플레이션 위험에 매우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상황”이라며 “지속적으로 물가 상승률이 목표인 2%로 돌아올 수 있도록 금리 인상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연준은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지난해 3월부터 금리 인상을 통한 통화긴축에 돌입해 이번 회의까지 모두 11차례에 걸쳐 누적으로 정책금리를 5%포인트나 인상했다. 연준보다 앞선 2021년 8월부터 금리 인상 주기에 들어간 한국은행은 올해 1월까지 10차례에 걸친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통해 누적 기준 3%포인트를 올렸다가 그 뒤로는 네 차례 연속 동결을 결정해 연 3.5%를 유지하고 있다. 미국이 더 빠르고, 더 큰 폭으로 금리를 올리는 바람에 한-미 간 정책금리 격차는 유례없는 수준으로 벌어지고 있다. 미국 금리의 상단기준으로 올해 3월 역전폭이 1.5%포인트로 벌어져 역대 최대치에 진입했다가 5월 1.75%포인트, 7월 이후에는 2%포인트로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시장의 관심은 미 연준이 연내 금리를 더 올릴지 여부에 쏠려있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이날 금리 인상 발표 뒤 기자들과 일문일답에서 “앞으로 금리 결정은 다음 회의 때까지 발표되는 물가와 고용 등 경제 지표에 따라 추가 인상과 동결이 모두 가능하다”는 원론적 답변을 내놓았다. 선제적이고 강력한 긴축보다 경제 상황에 따른 ‘후행적 대응’으로 유연성을 발휘하겠다는 의지로 보인다. 파월 의장은 “통화정책은 경제활동 및 인플레이션에 하방압력을 가하는 영역에 들어서있다. 지금까지 상당한 금리 인상이 진행된 점을 고려할 때 약간의 인내심을 가질 수 있게 됐다”며 통화정책의 시차 효과를 거론했다.

파월 의장의 이 발언 등을 두고 미국 금융가에서는 ‘비둘기적(완화적) 신호’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골드만삭스는 “연준 지도부가 신중한 속도의 긴축을 지지하고 있어 적어도 9월 회의에서는 금리 인상을 건너뛸 것”이라고 예상했다. 웰스파고은행은 “금리 인상 파급 효과에다 양적긴축(QT)까지 지속되는 가운데 여러 물가지표들이 둔화하고 있다”며 “7월 정책금리 인상이 마지막 긴축일 것으로 판단한다”는 의견을 냈다.

미 연준이 금리를 더 올리지 않더라도 한-미 간 금리 역전폭이 축소되기는 어려워 보인다. 미국보다 더 부진한 경기에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 우려 등으로 한은이 섣불리 금리 인상에 나설 수 없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7월 초 금통위 직후 “연 3.75%로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상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면서도 일정한 전제 조건을 걸었다.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금리 인상을 단행해 국내 금리와 환율 변동성이 확대되는 경우”라는 조건이다. 미국 등 주요국의 금리 인상이 실제로 단행됐지만 국내 자본시장과 외환시장에는 별 충격이 없다. 금리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다른 거시변수들이 많기 때문이다. 금리 격차가 커지면 이론적으로는 자본 유출이나 환율 상승(원화가치 하락) 압력으로 작용할 것 같지만, 현실에서는 그런 가능성이 낮다는 게 한은의 판단이다.

박순빈 선임기자 sbpar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식 감세·초긴축…세금 낼 국민 줄어드는 미래 대책은 있나? 1.

윤석열식 감세·초긴축…세금 낼 국민 줄어드는 미래 대책은 있나?

미 연준 정책금리 내렸지만…거꾸로 오르는 시장금리 2.

미 연준 정책금리 내렸지만…거꾸로 오르는 시장금리

트럼프 가족모임에도 낀 ‘특급공신’ 머스크…‘IT 차르’ 등극하나 3.

트럼프 가족모임에도 낀 ‘특급공신’ 머스크…‘IT 차르’ 등극하나

‘부동산 오락가락’에 빚 폭증…맥 못추는 코스피, 밸류업은 어디에 4.

‘부동산 오락가락’에 빚 폭증…맥 못추는 코스피, 밸류업은 어디에

‘까르보 소녀’에 역조공하러 미국행…삼양의 ‘찾아가는’ 불닭 마케팅 5.

‘까르보 소녀’에 역조공하러 미국행…삼양의 ‘찾아가는’ 불닭 마케팅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