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이 도시 문제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 제8회 아시아미래포럼 둘째 날인 16일 열리는 ‘스마트 도시와 지역 혁신’ 세션에선 초연결·초지능의 기술이 바꿀 도시의 새로운 생활 모습을 전망한다. 이정아 기자 leej@hani.co.k
유엔의 <세계 도시화 전망> 보고서는 2050년까지 전세계 도시인구 비율이 66%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세계 인구 3명 중 2명이 도시에 사는 것이다. 유엔은 이를 토대로 21세기 가장 중요한 개발 과제의 하나로 ‘도시 관리’를 꼽으며 ‘지속가능한 도시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미 주거환경, 이동여건, 에너지, 고용 문제 등에 직면한 도시들은 전통적인 택지 개발이나 단순한 도시기반시설 확충에서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물살을 타고 급부상한 ‘스마트도시’가 도시 문제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
올해 아시아미래포럼 분과세션1에서는 무인자동차, 디지털 기반 공유경제 이후의 도시생활 등 초연결·초지능의 기술이 바꾸게 될 도시의 새로운 생활 모습을 전망한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을 활용해 교통, 범죄, 에너지, 환경, 노령화 등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주민들의 행복을 높이는 전략을 논의할 예정이다. 기술이 아니라 도시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인문적 요구를 반영하고, 지역 주민의 참여에 바탕을 두는 시민참여형 지역혁신을 논의하는 데 방점이 찍혀 있다.
첫번째 발제에 나서는 이광재 여시재 원장은 산업혁명 시대의 산물인 대도시가 지속불가능의 위기에 처해 있다고 진단하며, 50년 뒤 도시의 미래를 상상할 것을 주문한다. 그는 “신기술 혁명의 핵심은 공간 혁명에 있을 것”이라며 “현재의 공장, 학교, 병원, 쇼핑센터, 은행 등은 근본적으로 변하거나 쇠퇴하거나 사라질 것”이라고 전망한다. 이 원장은 세계에 모델이 될 만한 새로운 스마트도시 건설 비전을 들려줄 예정이다.
박대우 서울시 경제진흥본부 경제기획관은 ‘서울시의 국내외 스마트도시 대응 현황 및 정책’을 소개한다. 서울시는 박원순 시장 취임 이후 사회혁신을 통한 도시혁신 실험에 나서고 있다. 특히 박 시장은 48개국 108개 도시, 4개 정부의 정보통신기술 기관이 참여하고 있는 ‘세계도시전자정부협의체’(WeGO)의 의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 협의체는 세계 도시 간 전자정부와 스마트도시 분야 교류협력과 디지털 역량 강화를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달성하고자 결성된 도시 간 국제기구다.
변창흠 서울주택도시공사 사장은 “미래 기술이 발달하면 한계비용이 제로가 되는 시대가 올 것”이라며 자본주의 시장 질서가 무너지고 협력적 공유 사회가 도래할 것이라는 전망 속에 “공유경제와 공동체 사회를 발전시켜야 한다”고 말한다. ‘미래형 주거복지정책 추진 방향’으로서 사람, 공간, 도시가 작동하는 원리를 찾아 올바른 방향으로 발전하도록 돕는 길을 소개한다.
토론자로 참석하는 이주원 국토교통부 장관정책보좌관은 지역 특성과 주민 의견을 고려한 안전·문화·교통·환경·복지 등 스마트도시 재생 요소와 스마트도시 기술을 적용하는 뉴딜사업 등을 소개하고, 최경호 서울시 사회주택종합지원센터장은 “민주적 혁신은 ‘신뢰’가 핵심”이라며 ‘국가?공동체?시장’이 신뢰를 구축해가는 3자 협력형 모델로서 사회적경제 부문이 기여하는 ‘사회주택’의 비전을 제시한다. 변미리 서울연구원 글로벌미래센터장은 국내외 스마트도시 혁신 사례를 검토하며, 사람을 위한 기술이 구현되는 도시의 미래를 주제로 토론에 나선다. 서왕진 서울연구원 원장이 좌장을 맡아 토론을 이끌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지자체의 ‘혁신’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어떻게 혁신적으로 행정을 수행하는지, 도시를 바꾸는 과정에 시민이 어떻게 참여하는지 등 지방정부가 고심해야 할 부분이 많다. 시민사회와 계속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지역혁신 전략을 구상하고 있는 지방정부들이 사례 발표와 정책 제안에 나선다. 서울의 김영배 성북구청장, 김우영 은평구청장, 차성수 금천구청장이 나서 시민주도형 도시혁신 전략 구상을 발표할 예정이다.
조현경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시민경제센터장
gobog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