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은 국채 금리’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긴축 행보에 제동을 걸었다. 연준은 1일(현지시각) 미 장기물 국채 금리가 고공행진하며 사실상 금리 인상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자 정책금리를 동결했다. 국내외 금융시장은 정책금리 인상 종료에 대한 기대감으로 환호했다. 그러나 연준이 추가 정책금리 인상 가능성을 여전히 열어둔 만큼 향방을 속단하긴 어렵다는 평가가 나온다.
■ 국채금리 급등에 놀란 연준
연준은 10월31일~11월1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정책금리를 연 5.25~5.50%로 동결했다. 9월에 이어 두차례 연속 동결이다.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건 미국 장기물 국채 금리다. 미 10년물 국채 금리는 지난달 말 16년 만에 장중 연 5%를 돌파했다. 연준이 9월 정책금리를 동결했음에도 고금리 장기화 우려와 재정적자에 따른 국채 발행량 증가 등의 영향으로 공급이 수요를 초과해 미 국채 금리가 무섭게 치솟고 있다.
이는 연준이 정책금리 동결 결정을 하게 된 핵심 배경이다. 국채 금리가 오르면 대출 금리 등도 따라 오르는 터라 연준의 정책금리 인상과 유사한 효과를 낳는다. 연준 입장에선 이미 국채 금리로 인한 긴축 효과가 발생하고 있는데, 정책금리까지 더 올릴 경우 경제에 부담을 줄 수 있다고 볼 여지가 있는 셈이다. 연준은 이날 정책결정문에 ‘긴축적 금융 여건’이라는 문구를 추가해 앞으로는 통화정책 결정에 ‘국채 금리’도 주요 변수가 될 것임을 시사했다.
물가 오름세 둔화도 연준을 동결로 이끌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상승률이 둔화하고 있고, 지난 18개월간 임금 상승률이 크게 낮아졌다”고 말했다.
■ 금융시장 일단 환호했지만…
국내외 금융시장은 회의 결과에 환호했다. 연준 메시지가 9월 회의 때보다 덜 긴축적이라고 봐서다. “금리 인상은 끝났다”(글로벌 투자은행 제프리스)란 평가마저 나왔다. 간밤 뉴욕 증시는 3대 지수(다우존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나스닥)가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미 국채 10년물 금리도 장중 연 4.71%까지 내려갔다. 2일 코스피도 전 거래일보다 1.81%(41.56) 상승한 2343.12, 코스닥지수도 4.55%(33.61) 급등한 772.84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시장의 기대가 섣부르다는 분석도 있다. 연준은 이날 추가 정책금리 인상 의지가 여전히 강하다는 점도 명확히 했기 때문이다. 파월 의장은 “현재 금리 인하에 대해 전혀 논의하지 않고 있다. 금리 인상을 종료할 만큼 충분히 긴축적이지 않다”고 강조했다.
실제 연준이 고금리 장기화 기조를 드러냈던 9월 회의 이후 경기, 물가 등의 상황은 크게 변한 것이 없다. 지난 26일 발표된 미국 3분기 경제 성장률은 4.9%(연율 기준)로 전 분기(2.1%)보다 크게 올랐다. 경기 개선세가 강하면 금리를 높게 유지할 수밖에 없다는 연준의 입장에 오히려 힘을 보태는 수치다. 근원 개인소비지출 가격지수 상승률도 지난 9월 3.7%로 연준의 목표치(2.0%)보다 여전히 높다.
미 국채 금리도 불확실성이 큰 변수다. 시장에 고금리 장기화 우려가 수그러들면 채권 수요가 살아나 이번엔 국채 금리가 떨어질 수 있다. 긴축 효과가 사라져 연준이 정책금리 인상을 다시 검토할 수 있다는 뜻이다.
전슬기 기자
sgju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