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어발 사업확장’ 등 논란에 휩싸인 카카오가 14일 상생안을 불쑥 내놨다. 골목상권 침해 논란을 빚은 사업엔 손을 떼고 3천억원 규모의 상생기금 마련, 경영권 승계 의혹이 있던 케이큐브홀딩스의 사회적 기업 전환 등이 뼈대다. 구체적인 실행 계획은 빠져 실효성에는 의문이 남는다.
카카오가 이날 발표한 상생안은 크게 세 부문으로 나뉜다. 우선 골목상권 침해 논란을 빚은 사업과 해당 사업을 한 계열사를 정리하거나 철수를 ‘검토’키로 했다. 헤어샵과 음식주문이 검토 대상이 될 수 있다. 또 유료 택시 호출 서비스인 스마트호출 서비스는 폐지하고 택시 기사들이 가입하는 멤버십 요금은 현 9만9천원에서 3만9천원으로 인하키로 했다.
두번째는 상생 기금 조성이다. 앞으로 5년간 3천억원 규모의 ‘파트너 지원 기금’을 만들어 택시나 대리운전 기사 등 플랫폼 종사자와 소상공인 지원에 쓴다는 게 회사 쪽 설명이다. 세번째는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의 개인회사인 케이큐브홀딩스의 사업 재편이다. 경영컨설팅과 투자업을 주된 사업으로 한 이 회사는 앞으로 사회적 가치 창출 관련 사업에 집중키로 했다. 김 의장 가족이 회사 경영에서 손을 뗀다는 입장도 함께 내놨다. 최근 공정거래위원회는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이 회사에 대한 직권 조사에 착수한 바 있다.
김범수 의장은 “최근의 지적은 사회가 울리는 강력한 경종”이라며 “카카오와 모든 계열 회사들은 지난 10년간 성장 방식을 과감하게 버리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성장을 위한 근본적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카카오와 파트너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모델을 반드시 구축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상생안 발표는 한 달 여전부터 과도한 사업확장과 골목상권 침해 논란이 본격적으로 불거진 데 따른 것이다. 특히 최근 공정위와 금융위원회 등 규제 당국이 직권 조사에 착수하거나 엄밀한 법령 해석을 내놓는 등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인 바 있다.
이번 상생안이 ‘떠밀리 듯’ 마련됐다는 뜻이다. 카카오 쪽은 “13∼14일 카카오 본사와 주요 계열사 대표들의 전체회의를 열어 상생안을 만들었다”고 밝혔다. 앞서 카카오는 올해 초 케이큐브홀딩스를 매개로 한 경영권 승계 의혹 등을 <한겨레>가
집중 보도한 뒤, 김 의장이 직접 나서
재산 절반 기부 계획을 내놓으며 사회적 논란을 비켜간 바 있다.
이런 탓에 상생안의 실효성에 의문이 남는다. 우선 3천억원 기금 조성의 경우 카카오 쪽은 구체적인 재원 마련 방법과 사용 계획을 내놓지 못했다. 또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쪽으로 사업 방향을 전환한다고 한 케이큐브홀딩스의 계획도 ‘미래 인재 양성’과 같이 두루뭉술한 사업 목표만 내놨을 뿐이다. 나아가 카카오모빌리티가 이날 “자율주행 등 모빌리티 기술 연구개발과 글로벌 비즈니스에 집중한다”고 밝혔으나, 이 역시 택시 호출 서비스와 같은 기존 사업과 동 떨어진 계획을 내놓은 것 아니냐는 평가가 나온다. 시장에선 카카오가 일부 사업 철수 등을 했지만 기업 가치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란 지적이 나왔다. 해당 사업들의 이용자수나 매출액 등 사업 규모가 크지는 않다는 이유에서다.
최민영 기자
mym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