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호 찬 싱가포르 정부기술청 최고 디지털 책임자(CDO). 싱가포르 정부기술청 제공
싱가포르는 전 세계 스마트시티 순위에서 2019년부터 3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세계 최초로 공공 서비스에서 신원 확인을 위해 얼굴 인식 기술을 활용하고, 납세 절차나 진료 예약 등을 온라인에서 할 수 있게 하는 등 공공 부문 디지털화에서 가장 앞서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국가 기술 정책을 담당하는 기술 전문 조직인 정부기술청(govetech) 역할이 컸다. 지난 2월8일 싱가포르 메이플트리 비즈니스 시티 내 정부기술청 사무실에서 차호 찬 최고 디지털 책임자(CDO)를 만났다. 차호 시디오는 “기술을 어떻게 정부 시스템에 적용하는지에 따라 국민의 삶이 변화한다”고 힘 줘 말했다.
그는 정부 조직이 기술로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예로 코로나19 펜더믹 상황을 들었다. 그는 “코로나19가 확산한 뒤 위치 추적 앱인 ‘트레이스투게더’와 디지털체크인 앱인 ‘세이프엔트리’를 만들어 블루투스 기술로 확진자와 한 공간에 있던 사람들에게 밀접접촉 사실을 알렸다”며 “급변하는 상황에서 국민에게 당면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술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정부 조직이 필요한 이유”라고 밝혔다.
정부기술청은 ‘정부부처 위의 기술 전문 조직’이다. 2014년까지는 정보통신 미디어 개발청 소속 조직이었다. 차호 시디오는 “예전에는 같은 지위의 부처에 기술 관련 업무를 요청해도 잘 들어주지 않았다. 이후 총리실 산하의 기술 조직으로 개편해 정부부처 전체의 기술 업무 관련 권한을 부여받은 뒤부터 협조가 잘 이뤄졌다”고 말했다.
실제 국방부를 제외한 모든 정부부처의 기술 관련 업무 예산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정부기술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예를 들어 정부기술청이 병원 진료의 온라인 예약 전환 정책을 내놓았다면 소관 부서인 보건부도 이 정책에 따라 업무를 추진해야 한다. 차호 시디오는 “정부부처의 중심에서 기술 관련 예산을 심의할 수 있는 권한을 통해 우리가 만든 기술 정책을 모든 부처에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인적 구성도 다른 부처와는 다르다. 구성원 3천명 중 약 82%가 민간 기업 등 외부에서 채용한 전문가다. 이들은 정부부처 임금 체계를 적용받지 않고 글로벌 테크 기업에 준하는 임금을 받는 것으로 전해졌다. 차호 시디오는 “수시로 구글, 메타 등 최고 수준의 기업에서 일했던 인재를 채용하고 있다”며 “외부 인재 영입이 중요한 이유는 기술적으로 뛰어난 전문가들만이 부처간 협업을 이끌어내고 정부가 원하는 수준의 스마트 정부를 구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그 역시 글로벌 은행과 컨설팅 회사 등을 거친 기술·운영 전문가다.
차호 시이오는 ‘기술을 통한 협업’을 스마트 국가의 핵심 열쇠로 꼽았다. 그는 “기술은 우리 앞에 펼쳐진 환경오염, 노령화, 지속가능한 발전 등 문제를 해결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기술로 시민의 삶을 향상하고 정부 조직과 기업이 더 생산적으로 일할 수 있게 하는 게 스마트 국가 프로젝트의 종착지이자 정부기술청의 목표”라고 말했다.
싱가포르/옥기원 기자
o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