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개발중인 자율주행차. 구글 제공
구본권의 스마트 돋보기
지난 1일 구글의 지주회사 알파벳이 시가총액 5522억달러를 기록하며 애플을 누르고 세계 1위 기업이 됐다. 디지털 산업의 선도자이면서 최고 수혜자가 된 구글의 행보는 당분간 거칠 것이 없어 보인다. 하지만 구글이 하루아침에 파산할 가능성도 있다는 ‘우스개’가 있다. 구글의 자율주행 자동차가 대중화된 시점에서 예상치 못한 에러나 해킹으로 인해, 전세계 도로에서 동시다발 교통사고가 나면 보험료를 감당할 수 없을 것이라는 장난 같은 시나리오다.
우스개로 여겼던 얘기를 다시 보게 만드는 일이 일어났다. 지난 4일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구글의 요청에 회신하면서 법규상 운전자 개념을 확대해, 사람이 아닌 자율주행차의 소프트웨어도 포함할 수 있다는 결정을 내렸다. 도로교통안전국은 “구글이 설명하는 자동차 설계 맥락에서 볼 때 우리는 ‘운전자’가 ‘자율주행 시스템’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기존 운전자 개념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의미있는 결정이다.
구글은 기존 완성차를 활용한 자율주행차와 별개로, 지난해 운전대와 액셀러레이터, 브레이크를 없애 자율주행 전용차량을 개발해 완벽한 주행 능력을 선보인 바 있다. 사람의 조작이 전혀 필요 없는 이 차량은 장애인·노인 등 교통약자의 이동편의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고 구글은 홍보했다.
이 차량은 운전능력 없는 사람을 싣고 운행할 수 있지만, 운전자가 없는 차량의 쓸모도 많다. 당장 도심에서 무인택시·무인배달차량으로 활용될 수 있지만 걸림돌이 있다. 도로교통국제협약은 “모든 차량에는 운전자가 있어야 하며 운전자는 모든 상황에서 차량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구글은 지난 몇년간 도로에서 ‘무인주행차’가 아닌 직원 두 명이 탑승한 상태로 ‘자율주행차’를 시범운행해왔다.
구글 자율주행차량은 이제껏 300만㎞를 시범주행해오며 기술을 완성시켜가고 있다. 걸림돌이던 ‘운전자의 범위’에 사람 아닌 자율주행시스템이 포함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이제 진짜 문제가 제기됐다. 자율주행차가 교통사고를 내면 누구의 책임인가? 이는 기술의 완벽함으로 풀 수 없고 결국 사회적 합의로만 대처할 수 있다. 자동화시대에도 여전히 진짜 중요한 결정은 사람의 몫이다.
구본권 사람과디지털연구소장 starry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