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 재난알림시스템은 이동전화 문자메시지를 통해 재난 혹은 자연재해에 대한 예보와 특보, 질병정보, 민방위 훈련 정보, 정부기관과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안전 알림 등 시민들의 안전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해주는 서비스다.
국제법과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라 오래 전부터 존재했지만, 2016년 9월 경주 지진 당시 6~7분이 지나고서야 알림이 도착한 사례를 계기로 두 차례의 개선 과정을 거치며 지금의 모습을 갖게 됐다. 긴급 재난알림을 보내기 위한 복잡한 중간과정을 모두 생략한 결과이다. 코로나19 대유행 사태를 겪으면서 “긴급 재난알림이 국가 방역 시스템의 기본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실제로 확진자 수와 동선에 대한 정보 뿐만 아니라 방역사항을 전파하고, 시·군·구별 재난기본소득 신청 방법을 안내하는 구실까지 했다.
긴급 재난알림시스템은 기상특보 같은 안전 안내문자, 재난과 재해에 대한 경보·특보, 전시상황 등 국가적 재난 상황 등을 24시간 전파·전달하고 있다. 사용 기관은 행정안전부, 환경부, 경찰청, 기상청, 지자체와 중앙행정기관 산하 공공기관 및 단체 등 40여곳에 이른다. 각각 재난 알람 문자 발송이 가능하다.
긴급 재난알림시스템은 셀 브로드캐스트(Cell Broadcast) 기술 방식이다. 휴대폰에 특정 수신 아이디(채널)를 내장시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정보(문자)를 수신할 수 있게 했다. 긴급 상황시 사람들이 주로 사용하는 데이터 셀룰러망은 트래픽 폭증 사태에 취약하다는 판단에 따라, 기지국을 중심으로 특정 주파수 채널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것이다.
긴급 재난알림시스템은 이번 코로나19 대유행 사태 때 세계 각 나라들이 케이(K)-방역의 우수함을 인정하는 계기를 제공하기도 했다. 바이러스에 대한 정보 제공과 예방사항 뿐만 아니라 확진자 동선 공개를 통한 물리적 접근 억제, 방역 진행사항, 시·군·구별 재난기본소득 안내까지 긴급재난문자로 이뤄지고 있는 게 주목을 받고 있다.
김재섭 선임기자
j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