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마포구 공덕동 일대 단독주택, 빌라촌. 김혜윤 기자 unique@hani.co.kr
서울 다세대·연립주택의 전세가율이 최근 전셋값 하락 영향으로 떨어지고 있지만 일부 지역은 90% 이상으로 치솟아 임차인들의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부동산원의 ‘임대차 시장 사이렌’을 보면, 지난 2월 기준 서울지역 다세대·연립(빌라)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은 평균 77.8%로, 전월(78.0%)에 비해 0.2%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한국부동산원이 임대차 시장 사이렌을 통해 전세가율을 공개한 지난해 8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부동산원은 거래 신고가 이뤄진 실거래가 자료에 기반해 다달이 직전 3개월간의 평균 전세가율을 집계한다.
서울 연립·다세대 전세가율은 지난해 8월(81.2%)과 9월(82.0%) 두달 연속 80%를 넘었다. 이후 10월에 79.9%로 내려갔으나 11월에 다시 80.3%로, 12월에는 78.6%로 떨어졌다. 올해 들어서는 1월 78.0%, 2월 77.8%로 석달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최근 주택시장에 역전세난이 심화하는 가운데 집값 하락폭보다 전셋값 하락폭이 더 커지면서 전세가율도 내려간 것으로 풀이한다. 한국부동산원의 ‘월간 주택가격 동향’을 보면, 서울지역 다세대·연립주택의 매매가격은 지난 1월과 2월에 각각 -0.58%, -0.47%의 변동률을 각각 보였으나 같은 시기 전세가격은 각각 -0.82%, -0.71%로 매매가보다 더 큰 폭으로 하락했다.
다만, 서울 안에서도 영등포구(92.9%), 도봉구(90.7%) 등은 지난 2월 다세대·연립 전세가율이 서울 평균치에 견줘 크게 높았다. 이처럼 전세가율이 90%를 초과하면 세입자가 집주인으로부터 보증금을 떼일 수 있는 ‘깡통전세’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최근 두 지역에서 전세 계약을 맺은 세입자들의 주의가 요망된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