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제2 도시 상트페테르부르크 시민들이 27일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항의하는 시위를 하고 있다. 상트페테르부르크/AP 연합뉴스
미국이 우크라이나 침공을 이유로 러시아에 부과한 고강도 제재에 협조하지 않으면 중국도 제재한다는 방침을 세웠다고 <월스트리트 저널>이 27일 보도했다.
미국 국무부 관리들은 특히 특정 기술에 관한 수출 통제 문제에서 중국 기업과 은행들이 러시아를 돕는다면 중국 쪽도 피해를 감수해야 할 것이라고 이 신문에 말했다. 한 관리는 “우리의 제재에 포함되는 활동에 간여하려는 어떤 나라든지 우리의 제재 적용 대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반도체와 컴퓨터 등 미국이 수출 통제 대상으로 삼은 상품들 중 미국 기술과 부품이 들어간 것들을 허가 없이 러시아에 제공하면 제재하겠다는 경고다.
중국은 최근 러시아와 정치적으로 밀착하는 데다, 러시아와 긴 국경을 나누고 있고, 세계 2위 경제대국이라는 점에서 미국과 유럽의 제재로 인한 러시아의 피해를 보완해줄 수 있는 유력한 나라로 꼽힌다. 하지만 <월스트리트 저널>은 미국 행정부는 중국 금융기관이 금융 제재로 인한 러시아 쪽의 곤란을 해결해주거나 중국 기술 기업이 대러 수출에서 제재 내용을 준수하는지 감시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 신문은 미국은 중국과 러시아가 지나치게 밀착하는 것을 경계하는 중에 발발한 우크라이나 전쟁을 중-러의 틈을 벌리는 기회로 삼으려고 한다고 전했다. 이는 러시아를 압박하는 효과뿐 아니라 유라시아대륙의 두 강국의 연대를 흩트리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얘기다. 이 신문은 강력한 대러 제재는 대만을 공격하면 어떤 대가를 치러야 하는지 중국에 경고하는 효과도 있다는 게 미국 행정부의 인식이라고 전했다.
미국은 지난 25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는 결의를 채택하려는 시도에 기권 의사를 밝힌 중국, 인도, 아랍에미리트연합을 비판하기도 했다.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유엔 주재 미국대사는 기권한 국가들은 “침략적이고 정당하지 않은 러시아의 행동”에 보조를 맞추려고 한다고 비난했다.
워싱턴/이본영 특파원
eb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