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철 북한 노동당 중앙위 부위원장과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
폼페이 미 국무, 15일 장성급회담 결과 성명
북한과 미국이 한국전쟁 때 북한에서 숨진 미군 유해 발굴 작업을 재개하기로 합의했다. 유해 발굴이 재개되면 조지 부시 미 행정부 시절인 2005년 중단된 이후 13년여만이다. 북-미는 또한 북한이 현재 발굴해 보관하고 있는 미군 유해 송환과 관련한 후속 실무회담도 16일 열기로 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15일(현지시각) 성명을 통해 판문점에서 15일 열린 북-미 장성급 회담에서 “(북-미) 양쪽이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한, 5300명으로 추정되는 미국민의 유해를 찾기 위한 현장 발굴 작업을 재개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폼페이오 장관은 발굴 재개 시기와 방법 등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폼페이오 장관은 북-미 장성급 회담과 관련해선 “오늘 회담은 생산적이었고 협력적이었으며 확고한 약속들을 이끌어냈다”며 “북한에서 이미 수습한 유해들의 송환 문제를 포함해 다음 단계들을 조율하기 위한 북-미 당국자들의 실무회담이 16일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 회담은 싱가포르(북-미 정상회담)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한 약속을 실행하기 위한 목표로 이뤄진 것”이라고 덧붙였다. 성명의 제목이 ‘유해 송환에 대한 미국과 북한 간 장성급 회담’인 점으로 미뤄볼 때, 이번 회담 의제는 일단은 미군 유해에 국한된 것으로 보인다.
유해송환은 북-미 정상회담 합의사항으로, 당시 채택된 공동성명 제4항에는 “미국과 북한은 신원이 이미 확인된 전쟁포로, 전쟁실종자들의 유해를 즉각 송환하는 것을 포함해 전쟁포로, 전쟁실종자들의 유해 수습을 약속한다”는 내용이 명시돼 있다.
이와 관련해 <워싱턴 포스트>는 회담 상황을 알고 있는 익명의 미국 정부 당국자를 인용해 유해송환을 위해서는 일부 세부사항에 대한 조율이 남아 있지만, 초기 송환작업을 어떻게 진행할지에 대해서는 일정 부분 합의가 이뤄졌다고 보도했다.
1996~2005년 북-미 합동 조사단은 북한 지역에서 200여구의 미군 유해를 발굴했다. 그러나 조지 부시 행정부 들어 북-미 관계가 악화되자 북한에 파견된 발굴 요원들의 신변 안전에 대한 우려와 북한에 현금이 들어간다는 이유로 활동이 중단됐다. 2007년 빌 리처드슨 당시 뉴멕시코 주지사에게 6구를 인도한 것이 마지막 유해 송환이었다. 양국은 2011년 10월 타이 방콕에서 유해 발굴 재개에 합의했지만, 이듬해 4월 북한이 인공위성을 발사하면서 이행되지 않았다.
워싱턴/이용인 특파원 yyi@hani.co.kr
이슈한반도 평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