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바가 자체 개발한 ‘소베라나(주권) 2’ 백신이 임상 3상 시험에서 62%의 효능을 나타냈다. 쿠바 아바나에서 의료진이 마스크를 쓴 채 걷고 있다. 아바나/EPA 연합뉴스
카리브해 섬나라 쿠바가 자체 개발한 ‘소베라나(주권) 2’ 백신이 임상 3상 시험에서 62%의 효능을 나타내 세계보건기구(WHO)의 기준(50%)을 넘어섰다고 공산당 기관지 <그란마>가 20일(현지시각) 보도했다.
핀라이백신연구소와 함께 백신을 개발하고 있는 국영 기업 비오쿠바파르마는 소베라나 2 백신을 2회 접종한 자료를 독립된 검증위원회에서 확인한 결과, 이런 수치를 얻었다고 발표했다. 핀라이연구소의 비센테 베레스 벤코모 소장은 “이 결과는 아주 고무적인 것”이라며 “2회 접종 뒤 ‘소베라나 플러스’ 백신을 추가 접종하면 효능이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쿠바는 핀라이연구소를 중심으로 현재 5개의 백신 후보물질에 대한 임상시험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소베라나 2와 아브달라 등 2개는 3상 시험 단계에 있다. 소베라나 2 백신은 비활성화시킨 독소를 바이러스 항원과 화학적으로 결합해서 만든 백신이다.
미겔 디아스카넬 쿠바 대통령은 임상시험 결과를 거론하면서 “정부가 이 개발 작업에 필요한 자금을 제대로 제공하지 못한 것을 우리 모두 안다”며 “그럼에도 세계 수준의 결과가 나왔다”고 말했다.
쿠바 보건 당국은 몇주 안에 소베라나 2 백신에 대한 긴급 사용 승인을 내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영국 일간 <파이낸셜 타임스>가 전했다. 쿠바 정부는 백신 관련 지식재산권을 모두 공개하고 백신에 최소한의 이윤만을 붙여 세계에 공급할 것임을 약속했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세계보건기구의 수석 과학자 수미야 스와미나탄은 “보건기구의 기준을 충족하는 백신 개발은 환영할 일”이라며 쿠바의 임상시험 결과를 조만간 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쿠바는 외국산 백신을 접종하는 대신 백신을 자체 개발하고 있는데, 개발에 성공할 경우 과학적 명성을 얻을 뿐 아니라 백신 수출을 통해 외화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로이터> 통신이 지적했다. 쿠바가 개발하는 백신은 베네수엘라, 멕시코, 아프리카 질병통제예방센터 등에서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쿠바와 협력 관계에 있는 나라들에게 우선 보급될 전망이다.
신기섭 선임기자
marishi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