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4월14일 백악관에서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을 철수하겠다고 발표하고 있다. 워싱턴/AP 연합뉴스
아프가니스탄에서 미군 철수를 완료하기도 전에 아프간이 이슬람 무장세력 탈레반의 손에 넘어가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곤혹스러운 처지에 놓였다. 그는 이달 말을 목표로 아프간 주둔 미군의 질서 있는 철수를 진행해왔으나, 예상치 못한 탈레반의 기세에 놀라 황급히 대사관을 버리고 탈출하는 모양새가 됐다. 20년 지속된 미 역사상 최장기 전쟁의 종식이라는 역사적 과업은 실행 과정에서 생겨난 오판과 혼란으로 미국과 바이든 대통령에게 수모를 안기고 있다.
아프간에서의 미군 철수는 바이든 대통령의 오래된 소신과 미국의 전략적 정책 전환이 맞물린 야심 찬 결정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상원 외교위원장이던 2001년 아프간 전쟁 개시에 찬성했으나, 전쟁이 길어지면서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는 쪽으로 생각이 바뀌었다. 그는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부통령을 지내던 2009년 아프간 병력 증원에 반대하며 국방부와 충돌했으나, 오바마 정부에서 아프간 병력은 오히려 11만명까지 늘었다.
바이든 대통령은 최고 통수권자가 된 뒤 지난 4월 아프간 철군 방침을 발표하고 실행에 나섰다. 그는 지난달 연설에서 “얼마나 많은 미국의 딸·아들을 얼마나 오래 거기에 두겠느냐”고 말했다. 지난 14일(현지시각) 낸 성명에서도 아프간에 20년간 1조달러를 투입하고 30만명의 아프간 군인·경찰을 훈련한 점을 언급하면서 “아프간 군대가 자기 나라를 지키지 못한다면 미군이 1년, 5년 더 있어도 차이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프간 철군은 미국이 중동에서 벗어나 외교정책의 초점을 중국, 러시아, 사이버 테러 등 새로운 위협으로 옮기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또한 바이든 대통령은 ‘중산층을 위한 외교’를 내걸고, 해외에 쏟을 에너지를 국내 재건에 집중하려 하고 있다. 그는 인권과 민주주의를 강조하면서도 아프간 철군에 따른 현지 여성 인권 악화 등에 대한 우려에는 “외국의 내분에 미군을 끝없이 배치하는 것은 수용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는 ‘미국 우선주의’ 깃발 아래 해외 주둔 미군 철수를 강조하고 ‘중국 때리기’에 집중했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도 결과적으로 겹친다. 지난해 2월 트럼프 전 대통령은 올해 5월1일까지 미군을 포함한 동맹군이 철군하기로 탈레반과 협정을 맺었다. 아프간 철군은 바이든식 ‘미국 우선주의’인 셈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2011년 오사마 빈라덴이 제거됐고 알카에다가 약화했다는 점 또한 아프간 철군의 이유로 든다. 미국 내 여론 또한 우호적이다. 4월 말 <더 힐>과 해리스엑스가 실시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73%가 철군에 찬성했다.
그러나 아프간 주둔 미군 철군 막바지에 탈레반이 아프간을 순식간에 장악해버림으로써 미국은 체면을 구겼다. 미 정부는 탈레반의 장악 능력을 과소평가했고, 아프간 정부 군대를 과신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 기자들에게 “탈레반보다 전쟁 수행에서 더 잘 훈련되고 무장되고 능력있는 아프간 군대의 능력을 믿는다”며 탈레반이 아프간을 장악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말했다. 미 정부 안에서 아프간 정권이 이달 안에 붕괴할 것으로 예상한 이는 없었다고 <워싱턴 포스트>가 고위 관리를 인용해 전했다. 지난 6월까지 미 관리들은 아프간 붕괴 시점을 미군 철수 뒤 6개월~1년 사이로 예상했고, 국방부는 지난주에는 90일로 예측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도 15일 방송 인터뷰에서 아프간 정권 붕괴가 예상보다 빨랐다고 인정했다.
공화당은 바이든 대통령을 맹비난했다. 스티브 스컬리스 공화당 하원 원내총무는 <시비에스>(CBS) 인터뷰에서 “바이든은 사이공처럼 헬기를 통한 대사관 대피를 못 볼 것이라고 했지만 우리는 여기에 있다”며 “이것은 바이든의 사이공 순간”이라고 말했다. 1975년 베트남전 패망 때 미국이 헬기를 동원해 탈출했던 치욕적 장면에 이번 일을 빗댄 것이다. 이 당의 리즈 체니 하원의원은 트럼프 전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을 싸잡아 비판했다. 그는 성명을 내어 “트럼프-바이든 참사는 테러리스트와 협상하며 그들을 평화의 파트너라고 주장한 트럼프 정부에서 시작했고, 바이든이 아프간을 포기하면서 미국의 굴복으로 끝을 맺었다”고 비판했다.
이에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에이비시>(ABC) 인터뷰에서 테러 세력이 미국을 공격하지 못하게 하는 등 아프간에서의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며 “이것은 명백히 사이공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그는 또한 바이든 정부는 트럼프 전 대통령과 탈레반이 맺은 미군 철군 합의를 물려받았으며, 철군하지 않으면 미국과 탈레반은 다시 전쟁하고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