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마크 에스퍼 국방장관. EPA/연합뉴스
경찰의 폭력과 인종차별에 항의하는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군대를 동원할 수 있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침에 마크 에스퍼 국방장관이 반기를 들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즉시 에스퍼 장관을 ‘진압’했으나, 국방부 안팎은 부글부글하고 있다.
에스퍼 장관은 3일(현지시각) 국방부에서 기자회견을 자청해 “법 집행에 병력을 동원하는 선택지는 마지막 수단으로만, 가장 위급하고 심각한 상황에서만 사용돼야 한다”며 “우리는 지금 그런 상황에 있지 않다. 나는 반란법 발동을 지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 주지사들이 폭력 시위를 강력 진압하지 않으면 군대를 배치하겠다고 밝혀, 반란 진압 등을 위해 대통령이 군대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한 반란법(폭동진압법)을 발동할 수 있음을 내비쳤다. ‘트럼프 예스맨’으로 꼽혀온 에스퍼 장관이 공개적으로 반대 목소리를 낸 것이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에스퍼 장관을 맹비난했다고 <뉴욕 타임스>가 한 관리를 인용해 보도했다. 에스퍼 장관은 워싱턴 인근에 배치한 현역 병력 중 약 200명을 노스캐롤라이나주의 기지로 복귀시키라고 명령한 상태였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로 이 방침을 번복했다. 케일리 매커내니 백악관 대변인은 기자들에게 “필요하다면 트럼프 대통령은 반란법을 사용할 것”이라며 에스퍼 장관의 발언과 거리를 뒀다. 미 언론은 안 그래도 백악관이 답답하게 여겨온 에스퍼 장관의 거취가 더 위태로워졌다고 짚었다.
마크 밀리 합참의장도 트럼프 대통령의 시위 대응에 에둘러 반대를 표시했다. 그는 이날 군 지휘관들에게 “모든 군인은 미국인들에게 표현의 자유와 평화로운 집회 권리를 부여한 헌법을 지킨다고 선서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메시지를 보냈다.
군 책임자들이 이렇게 나선 것은 군대 동원 방침에 반대 여론이 높은 데다, 자신들을 향해 ‘트럼프 대통령 떠받들기에 급급하다’는 비판이 쏟아졌기 때문이다. 특히 에스퍼 장관과 밀리 합참의장이 이틀 전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 앞 세인트 존 교회 앞에서 사진촬영을 할 때 동참한 것이 결정타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인증샷’을 위해 평화 시위대를 최루탄으로 내쫓는 데 동조한 것으로 비쳐진 탓이다. 에스퍼 장관은 기자들에게, 교회에 가는 것은 알았지만 사진촬영이 있을 줄은 몰랐다고 해명했다.
트럼프 행정부 초대 국방장관인 제임스 매티스는 3일 시사잡지 <애틀랜틱> 기고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과 에스퍼 장관을 함께 비판했다. 매티스 전 장관은 “도널드 트럼프는 미국인들 통합하려 노력하지 않는 내 생애 첫 대통령이다. 그는 심지어 통합하려 노력하는 척도 안 한다”며 “그는 우리를 분열시키려 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우리는 성숙한 리더십이 없는 3년의 결과를 목격하고 있다”고 했다.
매티스 전 장관은 에스퍼 장관이 최근 “우리는 전투공간에서 제압할 필요가 있다”고 한 발언을 겨냥해, “우리의 도시들을 군복 입은 군대가 ‘제압’하러 들어오는 ‘전투공간’으로 보는 생각을 거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날에는 제임스 밀러 전 국방부 정책차관이 에스퍼 장관의 트럼프 대통령 교회 인증샷 동행을 공개적으로 비판하며 국방과학연구위원회 위원직에서 물러났다.
에스퍼 장관은 기자들에게 “나는 국방부가 정치에서 떨어지도록 매우 노력하고 있는데 대선이 다가오면서 매우 힘든 일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시위 과정에서 1만명 이상이 경찰에 체포된 것으로 집계됐다. <에이피>(AP) 통신 보도를 보면, 로스앤젤레스가 2500여명으로 가장 많고, 뉴욕이 2천여명으로 다음이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