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11월 캄보디아 프놈펜의 한 호텔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3·1절 기념사에서 일본을 ‘협력 파트너’라고 지칭한 것과 관련해 기시다 후미오 총리도 이에 호응하는 차원에서 한-일 관계 최대 현안인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는 일본 언론의 제언이 나왔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2일 ‘윤 대통령 연설 살려, 총리 ‘징용공’에서 움직여야’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일본 정부는 윤 정부와 협력해 징용공 문제 해결을 서둘러야 한다”고 촉구했다. 신문은 윤 대통령이 전날 3·1절 기념사에서 북핵 등을 거론하며 ‘안보위기 극복을 위한 일·미·한의 공조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는 인식은 타당하다고 평가했다. 이어 “일-한이 서로 으르렁거릴 여유가 없다. 징용공 문제와 일본의 (대한국) 수출관리 조치를 조속히 수습해 신뢰 관계를 되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문은 이번 협상 국면을 놓치면 한-일 관계 개선이 쉽지 않다고 내다봤다. 신문은 “미래지향적 관계 조성에 나선 윤 정부에서 현안을 해결하지 못하면 일-한 관계 정상화는 요원해진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일본 기업 자산이 줄줄이 현금화될 수 있다. (일본이) 대응책으로 응수하면 (한국) 국민감정이 다시 악화돼 방일 관광객이 줄고, 경제에 타격이 간다. 북-중-러와 대립하는 미국의 전략에 영향을 주고, 일본의 안보도 불안해진다”고 진단했다.
한국 정부가 요구하고 있는 피고 기업의 사과와 배상 참여에 대해서도 일본 정부가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사과와 배상 참여 없이) 윤 정부가 (합의를) 밀어붙이면 야당에 정쟁의 빌미가 돼, 일-한 ‘위안부’ 합의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한-일) 당국 간 조율은 한계가 있어 정치로 매듭지을 수 밖에 없다. 일본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진지하게 검토해야 한다”며 “일-한 양국이 접점을 찾기 위해 기시다 총리가 지도력을 발휘할 때”라고 강조했다.
도쿄/김소연 특파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