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언론은 3일 독도 주변을 포함한 동해 수역의 해류조사를 실시할 한국 국립해양조사원 소속 해양조사선이 전날 부산을 출항한 소식을 주요뉴스로 전하며 지난 4월의 긴장이 재연될 것을 우려했다.
니혼게이자이(日經)신문은 이번 한국의 조사는 단순 해양연구만이 목적이 아니라 '다케시마'(독도의 일본식 표현)의 실효지배를 강화하려는 속셈이라고 지적하며 일본 정부와 여당에서 한국에 대한 강경론이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산케이(産經)신문은 한국 해양조사선이 독도 주변 배타적경제수역(EEZ)에 들어오면 일본 정부는 해상보안청 순시선을 출동시켜 조사중단을 요구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일본 외무성 고위관계자는 "한국이 조사를 하면 일본도 하지 않을 수 없다"며 '맞불 조사'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했다.
교도통신은 한국의 조사강행이 독도 문제를 '주권회복의 상징'으로 규정한 노무현 대통령의 특별담화에 따라 한국 정부가 독도의 실효지배를 강화하겠다는 태도를 분명히 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한.일 간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측 해양조사선도 2일 새벽 일본과 영유권분쟁을 벌이고있는 센카쿠(尖閣. 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열도 해역에서 해양조사를 벌인 것으로 밝혀졌다.
중국 해양조사선 `둥방훙(東方紅) 2호'는 일본측 경고에도 불구하고 탐사활동을 벌였으며 이에 맞서 일본 외무성은 즉각 중국측에 항의하고 조사활동 중단을 요청했다. 둥방훙 2호는 댜오위다오 서남쪽 24㎞ 해상에서 사전통보 없이 해저 진흙 및 해수 채집 활동을 벌였으며 일본측 경비함이 수차례에 걸쳐 경고했으나 묵살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신사 참배에 대한 반발로 중국과 한국이 일본과의 정상회담을 중단한 가운데 같은 시기에 한국과 중국이 해양조사에 착수한 것이 관련이 있는지는 불투명하지만 일본 내 강경파를 자극할 것은 확실시된다"며 "아시아외교 문제가 쟁점의 하나가 된 오는 9월 자민당 총재 선거의 행방에도 영향을 줄 것 같다"고 전했다.
신지홍 특파원 shin@yna.co.kr (도쿄=연합뉴스)
이슈독도 영토주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