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남북정상회담이 열린 4월 27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군사분계선을 넘어 판문점 북측 지역에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 판문점/한국공동사진기자단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피스카룝스코예 추모공원에는 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군의 도시 봉쇄로 굶어죽거나 전사한 시민과 군인들이 100만명 이상 집단 매장돼 있다. 이름도 묘비도 없이 여러 구역으로 나뉘어 사망 연도를 나타내는 표지석만 덩그러니 놓여 있다. 모스크바의 대조국전쟁 기념관 중앙홀에도 전사하거나 다친 전쟁 영웅 4만7천명의 이름이 빼곡히 새겨져 있다. 2차대전 당시 소련의 군인과 민간인을 합쳐 2천만~2700만명이 숨진 것으로 알려진다. 독일에서도 전사자 325만명 가운데 280만명이 소련군과 싸운 동부전선에서 숨졌다. 우리에게는 노르망디 상륙작전 등 서부전선의 전투가 잘 알려져 있으나 실제 피해 규모로 보면 동부전선이 더 참혹하고 치열했다.
1990년 전후 통일 과정에서 서독 정부는 미국 등 서방뿐 아니라 소련의 양해를 얻는 데도 각별한 노력을 기울였다. 그즈음 헬무트 콜 정부가 이런저런 명분으로 고르바초프 정부에 지원한 자금만 200억마르크(당시 한화 12조원 상당)가 넘는 것으로 전해진다. 인류 역사상 가장 처절한 전투를 치른 두 나라는 그렇게 전쟁을 마무리지었고 패전국 독일은 통일을 이뤄냈다.
이에 비하면 동북아 상황은 매우 역설적이다. 2차대전 후 동서간 이념대결이 이어지면서 패전국 일본의 책임은 유야무야되고 대신 한반도가 6·25전쟁에 이은 냉전의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았다. 열전을 치른 남과 북은 냉전에 휘말려 65년째 정전 상태다. 판문점 선언에서 연내 ‘종전’에 합의했으나 국내외 ‘냉전’ 기득권세력이 여전히 발목을 잡고 있다.
냉전에 휘둘리지 않고 꾸준히 동방정책을 펴온 서독은 소련의 경제위기에서 시작된 천재일우의 기회를 움켜잡았다. 모처럼 기회를 맞은 우리에게도 이제 끝물인 ‘냉전’ 세력의 방해를 뚫고 ‘종전’과 평화로 나아가는 지혜가 절실하다.
김이택 논설위원 ri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