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열린 일본 롯데홀딩스의 임시 주주총회가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싱거운 승리로 끝났다. 일본 롯데홀딩스는 한국과 일본 롯데그룹 소유-지배구조의 정점에 있는 회사다. 이런 점들에 비춰 한달여 전에 시작된 롯데그룹의 가족 간 경영권 다툼이 사실상 마무리되고 신 회장 중심의 경영체제가 더 굳어졌다고 할 수 있다. 신 회장의 형인 신동주 전 일본 롯데 부회장이 무효 소송 등으로 계속 반발할 수 있지만 성공 가능성은 커 보이지 않는다. 재계 5위의 롯데그룹이 이번 사태를 계기로 주주와 소비자들의 존경을 받는 글로벌기업으로 다시 태어나길 기대한다.
신 회장은 주총이 끝난 뒤 별도의 발표문에서 “저는 (그룹) 경영과 가족의 문제를 혼동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회사의 경영은 법과 원칙에 의거해 운영해야 합니다”라고 밝혔다. 지극히 상식에 속하는 얘기다. 신 회장과 형, 아버지 신격호 총괄회장 사이에 낯뜨거운 경영권 분쟁이 빚어진 것은 이런 상식을 저버렸기 때문이다. 그룹 계열사와 협력업체의 수많은 종사자들, 나아가 나라 경제를 생각했다면 있기 어려운 일이었다. 롯데 총수 가족들이 2.4%밖에 안 되는 지분으로 무소불위의 권한을 행사해온 결과라고 해도 그르지 않다. 이는 우리나라 여러 재벌그룹에서 그동안 많이 보아온 광경이기도 하다.
이런 추한 모습이 재연돼서는 안 된다. 특히 롯데그룹이 환골탈태에 가까운 변신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신 회장이 11일 발표한 ‘개혁 약속’을 지키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본다. 신 회장은 당시 한국 롯데 계열사의 지주회사 격인 호텔롯데의 공개를 추진하는 동시에, 현재 남아 있는 계열사 순환출자의 80% 이상을 연말까지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중장기적으로 그룹을 지주회사 체제로 바꾸겠다는 계획도 덧붙였다. 경영권 분쟁이 한창 진행되는 와중에 한쪽에서 롯데그룹의 국적에 의문이 제기된 바 있다. 롯데로서는 억울한 일이겠지만 불투명한 소유-지배구조 등이 원인을 제공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의문이 그릇된 것임을 입증하기 위해서라도 약속을 제대로 실천해야 한다.
정부와 정치권이 손을 놓고 있을 때가 아니다. 롯데 사태로 재벌체제 위험성이 다시 한번 드러나자 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더니 지금은 언제 그랬느냐는 듯이 잠잠해졌다. 걱정스런 상황이 아닐 수 없다. 재벌그룹의 일탈을 바로잡을 수 있도록 상법과 자본시장법, 공정거래법 등의 빈틈을 서둘러 메워야 한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