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평창 겨울올림픽 폐회식이 열린 평창올림픽 스타디움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김영철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과 인사하고 있다. 그 옆으로 이방카 트럼프 미국 백악관 보좌관이 자리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25일 막을 내린 평창 겨울올림픽은 경색된 한반도 기류를 대화 국면으로 돌리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문재인 대통령과의 만남에서 “북-미 대화에 충분한 용의가 있다”고 밝힌 김영철 노동당 중앙위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은 26일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만나, 북-미 대화와 남북정상회담 추진 방안 등을 논의했다. 미국 백악관도 김 부위원장의 ‘북-미 대화 용의’ 표명에 “비핵화로 가는 길인지 볼 것”이라고 신중한 자세를 보이면서 예비대화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미국은 예비대화에서도 비핵화를 의제로 올려야 한다는 입장인 데 반해, 북한은 비핵화 문제는 테이블에 올릴 수 없다고 맞서 그동안 좀처럼 논의를 좁히지 못했다. 그러나 문 대통령이 김영철 부위원장에게 비핵화 필요성을 강조하며 구체적인 로드맵까지 언급했는데도 별다른 거부 반응을 드러내지 않는 등 북한은 이전과는 달라진 듯한 모습을 보였다. 물론 이 정도 반응으로 북한의 비핵화를 낙관할 순 없다. 하지만 올림픽이 마련해준 ‘평화’의 기회를 남북한과 미국, 모두 살려 나가야 하는 건 분명하다.
이를 위해 우선 미국은 대화 문턱을 낮추고 일단 북한을 대화 테이블에 앉히는 데 주안점을 두길 바란다. 북한은 비핵화 요구에 최소한의 호응이라도 내비쳐야 한다. 이전처럼 양쪽이 모두 ‘치킨 게임’ 벌이듯 자기주장만 앞세운다면 모처럼 조성된 한반도 해빙 기류는 언제 다시 사라질지 모를 일이다. 한국 정부도 북-미 양자 사이에서 대립이 격화하지 않도록 완충 역할을 하는 등 북-미 대화를 추동하는 중재자 역할을 인내심을 갖고 계속 감당해 나가야 할 것이다.
북-미 대화와 별도로, 비정치적 분야인 문화 교류와 이산가족 상봉, 인도적 지원, 그리고 우발적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고위급 군사회담 등의 재개를 추진하는 등 남북관계 개선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 북-미 대화가 남북문제와 맞물려 돌아갈 수밖에 없지만, 북-미 접촉이 있을 때까지 남북관계 개선을 마냥 미룰 건 아니다. 오히려 남북관계 개선을 통해 북-미 대화를 추동하는 적극적인 자세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북한과 미국은 신경전만 벌이지 말고, ‘대화’를 위해 양쪽 모두 좀더 적극성을 보여야 한다. 그것이 평창 올림픽이 남북한과 미국, 모두에 던져준 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