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충북도청을 찾은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전 대표가 인사말을 하고 있다. 대권주자인 이 전 대표는 이 자리에서 지역현안 지원을 약속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전이 과열되면서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문제까지 공방 이슈로 등장했다. 당시 탄핵 표결에 참여한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가 탄핵 찬반 중 어느 쪽으로 표를 던졌는지 가려야 한다는 주장이 이재명 경기지사 쪽에서 제기된 것이다. 민주당 경선이 이재명-이낙연 ‘양강구도’로 재편되면서 네거티브 공세도 격화하는 모습이다.
이재명 캠프 상황실장을 맡은 김영진 의원은 21일 <시비에스>(CBS) 라디오에 출연해 “이낙연 후보가 노무현 대통령 탄핵 때 탄핵에 찬성했는지 반대했는지 분명한 입장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 전 대표는 2002년 노무현 새천년민주당 대선후보의 대변인으로 활동했지만, 이후 분당 사태로 열린우리당이 창당될 때 민주당에 남았다. 2004년 야당인 한나라당(국민의힘 전신)과 민주당이 주도한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안’ 발의에는 불참했고, 탄핵안 표결에는 참여했다. 다만 표결 전 “당인으로서 고민하고 있다”며 자필로 쓴 입장문을 냈고, 탄핵소추안이 처리된 뒤에는 “죽을 때까지 말하지 않겠다”며 찬반 여부를 함구한 바 있다. 당시 탄핵에 동참했던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은 이를 반성한다며 ’3보 1배’를 하며 참회하기도 했다. 김 의원은 “2002년 대선 당시 노무현 후보의 대변인이었던 이 전 대표가 탄핵 과정에는 참여를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어떻게 지키겠다는 것이냐”며 “최고의 공직에 오르려면 본인의 행보와 판단에 대해서 솔직해야 한다. 구렁이 담 넘어가듯 하면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 지사 쪽의 ‘탄핵 공세’는 이 전 대표가 줄곧 자신을 김대중·노무현·문재인 대통령의 ‘계승자’라고 주장하는 것에 대한 반박인 셈이다.
그러자 이낙연 캠프 상황본부장을 맡고 있는 최인호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노 전 대통령을 끌어들여 정치적으로 공격하는 것은 아무리 초조하다 해도 정치적 금도를 넘어서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수석대변인인 오영훈 의원도 “이낙연 후보는 노무현 탄핵 소추안에 반대표를 던졌다”고 주장하며 “최소한의 팩트체크 없이 발언한 데에 이재명 캠프가 민주당의 정신을 폄훼하려는 것이 아닌지 의구심을 떨쳐버릴 수 없다”고 밝혔다.
심우삼 기자
wu3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