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기지사가 비싼 반려동물 양육비를 낮추기 위해 “동물병원의 진료항목과 진료비를 표준화하고, 이용자가 가격을 미리 알 수 있도록 공시제도를 시행하겠다”고 20일 밝혔다. 이 지사는 반려동물 관련 업무를 총괄하는 ‘동물복지진흥원’을 설립해 사람·동물 통합복지 체계를 갖추겠다고 공약했다.
이 지사는 이날 경기도 직영 고양시동물보호센터에서 불법 개농장에서 구출된 동물 우리를 방문한 뒤 이 같은 공약을 발표했다. 이 지사는 “우리나라 반려동물 진료체계는 아직 진료항목이나 진료비에 대한 표준화가 도입되지 않아서 동물병원마다 그 가격이 달라 이용자의 불만이 많다”며 동물병원 진료비 표준화를 공약으로 제시했다. 또 반려동물 진료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반려동물 의료보험’ 도입과 ‘반려동물 공제조합’ 설립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값싸고 질 좋은 국내산 펫 푸드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펫 푸드 산업을 육성하고, 생산·공급 과정도 체계적으로 관리해나가겠다고 약속했다.
이재명 경기지사가 20일 경기도 고양시동물보호센터에서 동물복지 공약을 발표하고 있다. 캠프 제공
동물 학대 예방을 위해 경찰서에 ‘동물 학대범죄 전담팀’을 신설하겠다고 했다. 이 지사는 “약자를 대상으로 하는 사회적 범죄는 그 대상이 동물이든 사람이든 그 본질은 같다”며 “자치경찰제가 시행 중인 일선 경찰서에는 ‘동물 학대범죄 전담팀’을, 지방정부에는 ‘동물복지 전담부서’를 설치해 전문성과 책임성을 갖고 동물 학대범죄에 신속하게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보호자가 없는 개로 인해 다쳤을 경우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보상이 이뤄지도록 지원하겠다고 했다. 이 외에도 이 지사는 △사회적 합의를 통한 개 식용 금지 추진 △반려가족 입양 원칙 △기초자치단체별 반려동물놀이터 설립 확대 △채식 선택권과 비건 문화 확산 등을 내놨다.
정세균 전 국무총리가 19일 경기도 남양주 동물자유연대 온센터에서 열린 동물복지 국가책임제 공약 발표에서 애완견을 안고 있다. 연합뉴스
국내 인구 25%에 해당하는 1500만명가량이 반려동물을 기르고 있는 만큼, 올해 대선에서도 동물복지 공약이 앞다퉈 쏟아지고 있다. 정세균 전 국무총리도 전날 경기 남양주시 동물자유연대 ‘온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 모두가 반려동물과 함께 더 풍요로운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앞장서겠다”라며 ‘동물복지 국가책임제’를 공약했다. 정 전 총리 역시 반려동물 진료비 표준화, ‘펫 보험’ 가입 의무화 추진, 불법 번식장 및 불법 매매 금지, 유기동물보호센터 지원, 펫 협동조합 활성화 등 5가지 공약을 밝혔다.
서영지 기자
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