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선 당시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입수해서 봤다는 김무성 의원은 그때 새누리당 중앙선거대책위의 총괄선거대책본부장을 맡고 있었다. 또 집권하면 대화록을 공개할 것이라고 말한 권영세 주중대사 역시 새누리당 선대위 종합상황실장으로 일했다. 김 의원이 박근혜 대선 캠프를 총지휘한 ‘선장’이라면, 권 대사는 선거 전략 수립과 각종 현안 대응을 담당한 ‘1등 항해사’였다. 쉽게 말해 박근혜 캠프의 1, 2인자였던 셈이다.
김 의원이 처음부터 선대위 실세였던 것은 아니다. 지난해 9월 말 1차 선대위 구성 때 그는 명목뿐인 중앙선대위 의장단의 한명에 불과했지만, 당내 인적쇄신 논란으로 최경환 후보비서실장 등이 사퇴하면서 10월11일 총괄선거대책본부장을 맡아 ‘구원투수’로 등장했다. 세종시 수정안에 찬성하면서 친박계에서 이탈했다 복귀했을 뿐 아니라 박근혜 대통령과 정치적 화해도 이뤘다.
그 뒤 그는 선대위 사무실에 24시간 머물며 선거운동을 총괄 지휘했다. 정문헌 의원이 노무현 전 대통령의 ‘엔엘엘(NLL) 포기 발언’을 주장한 이후 그는 노 전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관련 기록을 폐기했다는 주장을 하기도 했다. 또 “종북세력에게 정권을 주지 말아야 한다”며 야당 후보를 상대로 색깔론을 펴는 등 대야 공세에 앞장섰다.
19대 총선 때부터 박 대통령과 호흡을 맞췄던 권영세 대사는 종합상황실장 시절 대외 발언을 삼갔지만, 수시로 박근혜 당시 후보와 대면 또는 전화 보고를 했다. 인혁당 사과 발언 등 과거사 문제에 대한 해법을 후보에게 건의한 곳도 종합상황실이었다.
선대위에서의 위치나 당시 박 후보와의 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김 의원 등은 정상회담 대화록의 존재에 대해서도 후보에게 보고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게 당시 새누리당 사정을 잘 아는 사람들의 대체적인 관측이다.
김종철 기자 phillkim@hani.co.kr
‘국정원 파문’, 보수에게 국익은 없다 [한겨레캐스트 #121]
<한겨레 인기기사>
■ 국정원, 노 전 대통령 수사도 개입…검찰에 “명품시계 조사를”
■ “서른 전에 결혼해야지” 생각 뒤엔 ‘섹스 자본’의 그림자
■ 청와대, 박 대통령 방중 성과 ‘입맛대로’ 마사지
■ “계속 안 만나주면 고발한다” 남친의 협박수단 된 낙태죄
■ [화보] "대통령 물러나라" 이집트 반정부 시위 격화
■ 국정원, 노 전 대통령 수사도 개입…검찰에 “명품시계 조사를”
■ “서른 전에 결혼해야지” 생각 뒤엔 ‘섹스 자본’의 그림자
■ 청와대, 박 대통령 방중 성과 ‘입맛대로’ 마사지
■ “계속 안 만나주면 고발한다” 남친의 협박수단 된 낙태죄
■ [화보] "대통령 물러나라" 이집트 반정부 시위 격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