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정치 국방·북한

북, 사거리 190㎞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 발사

등록 2022-01-27 14:40수정 2022-01-27 21:12

새해 여섯번째 무력시위…5분 간격 연속 발사 능력 검증 가능성
북한이 “17일 전술유도탄 검수사격시험”을 했으며 “서부지구에서 발사된 2발의 전술유도탄은 조선 동해상의 섬 목표를 정밀타격했다”고 ‘노동신문’이 지난 18일치 3면 아래쪽에 발사 사진을 곁들여 보도했다. 김정은 조선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은 현지 참관하지 않았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북한이 “17일 전술유도탄 검수사격시험”을 했으며 “서부지구에서 발사된 2발의 전술유도탄은 조선 동해상의 섬 목표를 정밀타격했다”고 ‘노동신문’이 지난 18일치 3면 아래쪽에 발사 사진을 곁들여 보도했다. 김정은 조선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은 현지 참관하지 않았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북한이 27일 오전 단거리 탄도미사일(추정) 발사체 2발을 쏘았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밝혔다. 북한은 올해 5번째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 이틀 전인 지난 25일 쏜 순항미사일(추정) 2발까지 합치면 올들어 북한은 모두 여섯 차례 미사일을 발사했다.

합참은 “이날 오전 8시께, 8시5분께 함경남도 함흥 일대에서 북동쪽 동해상으로 발사된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2발의 발사체를 포착했다”고 밝혔다. 발사체 비행 거리는 약 190㎞, 고도는 20㎞가량으로 탐지됐다. 군 관계자는 “일반적 탄도미사일과 비슷한 속도로 비행했다”고 설명하고, 최고속도와 비행 궤적 등 세부 제원은 한미 정보당국이 정밀 분석 중이라고 말했다. 군은 이날 발사 간격이 5분 안팎이어서 연발 사격 및 정확도 검증을 위해 미사일을 발사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이날 발사체들의 비행거리가 이전 발사 때와 견줘 상대적으로 짧고 고도가 낮다는 점에서 300㎜ 대구경 방사포(KN-09)나 600㎜ 초대형 방사포(KN-25) 사격훈련을 했을 가능성이 나온다. 군 관계자는 이날 “아직 (발사체) 탄종에 대해 말할 단계는 아니다. 사거리가 긴 미사일을 줄여서 쏠 수가 있기 때문에 명확히 단정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북한이 새로 개발한 신형 단거리탄도미사일 시험 발사를 했을 가능성도 열어놓고 있다”고 설명했다.

군 당국은 이날 미사일 표적을 함경북도 길주군 무수단리 앞바다의 무인도(알섬)로 추정했다. 북한은 지난 14·17일 단거리탄도미사일 발사 때도 알섬이 표적이었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평화를 위해 당당한 목소리가 필요합니다
한겨레와 함께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정치 많이 보는 기사

[단독] 내란 군 수뇌부, 설날 ‘떡값’ 550만원씩 받았다 1.

[단독] 내란 군 수뇌부, 설날 ‘떡값’ 550만원씩 받았다

대왕고래 실패에…야당 “대국민 사기극”, 국힘 “경위 파악부터” 2.

대왕고래 실패에…야당 “대국민 사기극”, 국힘 “경위 파악부터”

[영상] 국힘 강선영 “야!”…국민 듣는데 동료 의원에 폭언 3.

[영상] 국힘 강선영 “야!”…국민 듣는데 동료 의원에 폭언

[속보] 윤석열 반박한 최상목…계엄지시 문건 “받았다” 재확인 4.

[속보] 윤석열 반박한 최상목…계엄지시 문건 “받았다” 재확인

최상목 “가로 3번 접혔다”는 계엄 문건…대통령이 준 걸 안 봤다? 5.

최상목 “가로 3번 접혔다”는 계엄 문건…대통령이 준 걸 안 봤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