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고성 원형 보존 지피 외부 모습. 문화재청 제공
9·19 남북 군사합의 무효화를 선언한 북한이 이 선언에 따라 철수한 비무장지대(DMZ) 감시초소(GP)를 복원하자, 한국 군 당국이 철수한 남쪽 11개 지피 가운데 강원도 고성에 있는 원형 보존 지피부터 복원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29일 군 당국의 설명을 들어보면, 2018년에 체결된 9·19 군사합의에 따라 인력과 무기 등을 철수했지만 원형이 그대로 보존된 고성 829지피(옛 369지피)에 병력과 장비를 다시 투입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 지피는 관측소(OP)와 장병 생활 시설 등이 남아 있기 때문에 금방 사용할 수 있다.
강원도 고성 원형 보존 지피 내부 모습. 문화재청 제공
남북은 9·19 군사합의로 비무장지대 내 전체 지피 중 1㎞ 이내 근접해 있던 남북 각각 11개 지피를 시범 철수 대상으로 정하고 10개를 폭파나 철거 방식으로 파괴했고, 1개씩은 병력과 장비는 철수하되 원형은 보존했다. 고성 829지피는 1953년 7월 정전협정 체결 후 비무장지대 내 남쪽 지역에 처음으로 설치됐고 북한 지피와 최단 거리(580m)란 상징적 의미를 고려해 보존됐다. 2019년 문화재청은 분단과 냉전, 남북 화합과 평화의 상징성을 보여주는 시설로 활용 가치가 매우 높다며 이 지피를 국가등록문화재(통일역사유물)로 지정했다.
군 당국은 문화재청과 협의해 고성 보존 지피에 대한 문화재 지정을 해제하고 비무장지대를 관할하는 유엔군사령부와도 상의해 고성 지피 재가동에 나설 전망이다. 군 당국은 고성 보존 지피부터 복원을 추진하고 나머지 10개 지피는 북한군의 11개 지피 복원 움직임을 보면서 대응할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군이 9·19 군사합의로 철수한 동부전선 최전방 감시초소(GP) 상단에 관측소(추정) 목조 구조물을 만들어 얼룩무늬 색칠을 하고 있다. 국방부 제공
군 당국이 파괴된 10개 지피를 복원하는 것보다 보존 지피를 먼저 활용하는 것은 지피 복원 시간 단축과 장병 안전 확보 때문이다. 애초 북한은 지피가 지하에 있어서 폭파된 지피 터 위에 나무로 만든 간단한 관측소를 얹는 방식으로 2~3일 만에 복원했다. 북한과 달리 남쪽 지피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라 다시 만들려면 건축 자재를 비무장지대로 반입해 공사를 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 또 건축 자재 반입과 공사 과정이 580m 거리에 있는 북한군에 노출된다. 복원 시간을 단축하려고 유사시 총탄을 견디지 못하는 나무로 최전방 장병 근무 시설을 만들기는 어렵다.
29일 오후 인천 옹진군 대연평도에서 바라본 북한 장재도에 포문이 보인다(동그라미 친 부분). 최근 북한이 9·19 남북 군사합의 전면 파기를 선언한 뒤 서해 북방한계선(NLL) 지역에 있는 북한군 갱도형 해안포의 개문 사례가 급증한 것으로 전해졌다. 군 당국에 따르면 북한군 갱도형 해안포의 개문 사례가 늘었다며, 평소 북한군의 해안포 개문은 1~2개소 정도였는데, 최근에는 10개소 이상으로 늘었다. 연합뉴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