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침몰] 합조단 사고조사 어떻게
침몰한 천안함의 인양 작업이 가시화하며 사고 원인 규명 작업도 본격적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지난달 31일 발족한 민·군합동조사단(합조단)은 5일 충남 계룡대의 해군본부와 평택 해군 2함대사령부, 부산 해군작전사령부에 대한 방문조사와 함께 경기 성남시 국군수도병원에 입원한 생존자들의 증언 청취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합조단의 우선적인 규명 대상은 군의 잇단 말바꾸기로 의혹이 집중되고 있는 사고 발생 시각이다. 합조단은 일단 2함대에 설치된 전술지휘체계(KNTDS) 자료를 통해 천안함이 밤 9시22분께 멈춰 선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또 일부에서 최초 발생 시점으로 제시하고 있는 밤 9시15분부터 22분 사이 승조원과 가족 사이 휴대전화 통화기록이 남아 있음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좀더 정확한 설명을 위해서는 아직 다 드러나지 않은 교신기록과 생존 장병들의 증언 등이 확보돼야 한다.
또 합조단은 함체가 두 동강 나 침몰한 원인을 밝히기 위해 시뮬레이션 기법을 활용할 계획이다. 사고 시점에 인공 지진파가 감지된 점에 착안해, 당시 해상 풍랑과 유속·수심 등을 적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티엔티(TNT) 180여㎏의 폭발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원인을 규명하겠다는 것이다. 또 해저 탐색 등을 통해 폭발체의 파편 등 ‘증거’ 확보에도 주력할 방침이다. 합조단은 선체 인양 뒤엔 함수·함미의 절단 부분을 비교하고 절단면의 휨 방향과 금속색깔 변화 등을 검토해 물리적인 힘의 종류와 충격 방향 등을 정밀분석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학송 국회 국방위원장은 이날 “군 당국이 절단면이 10도 정도 굽었고 배의 아래쪽 용접부는 떨어져 나갔으며, 위쪽에는 생철판이 찢어졌다고 한다”고 말했다.
폭발 원인이 외부 충격으로 판단될 경우 북한의 개입 여부도 밝혀야 할 의문이다. 군이 사고 발생 초기 대응을 제대로 했는지도 합조단의 조사 대상이다. 작전 대응과 상부 보고, 구조와 수색 과정에서 상황 판단과 대처에 잘못은 없었는지 등을 살펴봐야 한다.
합조단은 국방부 조사본부와 합참 전비태세검열실, 국방과학연구소 등 10개 자문기관과 민간 전문가 24명 등 108명으로 구성됐다. 그러나 대다수가 군이나 군 관련 기관 소속이어서 조사의 객관성 확보에 의구심도 일고 있다. 이에 따라 합조단은 조사의 객관성을 보강하는 차원에서 미국 전문가팀의 도움을 받게 된다. 이상의 합참의장은 5일 열린 군 고위급 협조회의에서 월터 샤프 주한미군 사령관에게 신속한 침몰 원인 조사를 위해 미국의 해난 사고원인 분석 전문팀 지원을 요청했고, 샤프 사령관은 “최고 전문가팀을 지원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미 해군 수상전 분석센터의 해상무기·해난사고 분석 요원, 육군 물자체계연구소의 폭약 전문요원 등으로 구성된 미 전문가팀은 시뮬레이션과 파편 분석 작업 등을 함께 할 예정이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