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통신 등 외교전 밀리는 것 아니냐 지적
“주중대사관 대처 안일” 비판
“주중대사관 대처 안일” 비판
중국 매체들이 최근 독도 관련 뉴스를 보도하면서 ‘죽도’로 표기한 뒤 괄호 안에 ‘한국명 독도’라고 적는 경우가 부쩍 늘고 있다.
특히 중국 국무원 직속인 〈신화통신〉과 〈중국신문〉, 영문 〈중국일보〉와 인터넷 매체 〈중국망〉은 물론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까지 ‘죽도’라고 적고 있어, 이 문제에 관해 주중 한국대사관이 안일하게 대응하고 있지 않으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신화통신〉은 29일 “일본이 독도를 경제수역의 기준점으로 삼으려 해 한국과 마찰을 빚고 있다”는 내용의 보도를 전하면서 독도를 ‘죽도’로 적었다.
〈중국신문〉은 이날 “한국이 독도 인근의 해류 조사를 하려고 해 일본의 항의를 사고 있다”는 내용의 보도를 전하면서 제목과 기사에서 모두 ‘죽도’라고 표기했다. 두 통신사와 〈중국망〉의 기사는 지방 매체가 가장 많이 인용하는 것이어서 ‘죽도’ 표기는 순식간에 중국의 매체들을 뒤덮고 있다.
〈중국신문〉은 이를 뒤늦게 발견한 한국대사관의 항의로 ‘죽도’를 ‘독도’로 고쳤으나, 이 기사를 인용한 지방 매체는 거의 시정되지 않고 있다.
〈신화통신〉과 〈중국신문〉 등 대부분의 중국 매체들은 지금까지 대부분 ‘독도’라고 적은 뒤 괄호 안에 ‘일본명 죽도’라고 표기해왔다.
이에 대한 주중 일본대사관의 항의가 최근 거세지자 일본의 조처에 관한 기사인 경우 더러 ‘죽도’라고 적고 괄호 안에 ‘한국명 독도’라고 적기도 했다.
그러나 이날 〈중국신문〉의 경우는 한국의 조처에 관한 보도이면서도 ‘죽도’라고 적은 것이어서, 이 문제를 둘러싼 중국 안 한·일 외교전에서 한국이 밀리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베이징/이상수 특파원
leess@hani.co.kr
이슈독도 영토주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