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제20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제9차 중앙당 선거관리위원회 회의에서 이상민 선거관리위원장(가운데)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경기지사와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간 네거티브 공방이 휴전 상태에 들어가면서 민주당 지도부가 이를 강제하기 위해 특별당규 수정 작업에 돌입했다. 양쪽 간 검증 공방이 치열해질 경우 ‘도로 네거티브’로 회귀할 여지가 큰 만큼 재발방지책 마련에 안간힘을 쓰는 모습이다.
송영길 민주당 대표는 9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대선주자들의) 일체의 네거티브를 중단하겠다는 뜻을 환영한다”며 “선 넘는 네거티브로 정권을 잡고 보자는 선거 전문 조직이 아니라 민생·주권을 지키고 미래를 준비하는 능력 있는 집권 여당의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밝혔다. 송 대표는 “여야 관계에서도 네거티브에 한계가 있는데 하물며 당내에서는 더욱 그러할 것”이라며 이런 취지를 당내 대선주자들과 만나 공유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당 선거관리위원회는 대선 후보 선출 규정을 담은 특별당규의 제재 조항(65조)을 강화할 계획이다. 65조는 당내 경선 과정에서 규정 위반 행위에 대한 제재와 관련한 조항이다. 이상민 선관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선관위 회의 뒤 기자들과 만나 “경선 질서를 흐트러뜨리고 당 결속을 깨지게 할 정도의 후보자나 후보자 측 관계자가 있다면 경중에 따라 책임을 물어야 하는데 지금 적시된 방법으로는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기존 규정에 명시된 제재 수위는 주의·시정명령, 경고 조치, 윤리심판원 회부 등으로 구분된다. 당 선관위는 이보다 강한 수위의 제재 방법을 담은 안을 분과위원회 차원에서 만든 뒤 논의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원팀 협약식’ 이후 쉴 새 없이 공방을 주고받던 양쪽 캠프도 한층 누그러진 분위기다. 이재명 캠프는 이 지사의 음주운전 의혹을 제기한 이낙연 캠프 대변인 오영훈 의원을 ‘허위사실 유포’로 당 선거관리위원회에 신고한 것을 철회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재명 캠프 대변인인 박성준 의원은 <한국방송>(KBS) 라디오에서 “(캠프 관계자들끼리) 대승적 차원에서 우리가 무엇을 할 것인지 이야기를 한다면, 과거 문제 같은 경우 떨쳐버리고 나가야 한다는 차원에서 크게 접근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낙연 캠프도 상시 소통채널을 구축해 네거티브 완충지대를 만들자는 이 지사의 제안을 수용했다.
그러나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다. 이 전 대표 쪽은 네거티브와 별개로 검증은 필요하다며 공세를 이어갔다. 이 전 대표는 <티비에스>(TBS) 라디오 인터뷰에서 “(경기도가) 기본소득 홍보에 34억을 썼다. 그건 경기도의 업무가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이 지사의 지사직 사퇴 문제에 대해선 “양심의 문제”라며 “분명한 것은 도정을 뛰어넘는 개인 홍보에 국민의 세금이 들어가고 있다는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대선 예비후보인 김두관 의원은 이낙연 캠프의 선대위원장인 설훈 의원이 지난 7일 언론 인터뷰에서 경선 후 ‘원팀’을 장담할 수 없다는 취지로 말한 것을 거듭 문제 삼았다. 그는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노무현을 새천년민주당의 대통령 후보로 뽑아놓고 정몽준으로 후보 교체를 요구하며 노무현 후보 사퇴를 주장하던 ‘후단협’이 생각난다”며 “이낙연 후보는 원팀 정신을 훼손하고 경선 불복을 시사한 설훈 의원에 대해 선제적이며 명확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심우삼 기자
wu32@hani.co.kr